[DD퇴근길] "AI 강화된 iOS19"…애플, WWDC25서 보여줄 혁신은
디지털데일리가 퇴근 즈음해서 읽을 수 있는 [DD퇴근길]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하루동안 발생한 주요 이슈들을 퇴근길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전체 기사는 ‘디지털데일리 기사 하단의 관련뉴스(아웃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플 WWDC25, 내달 9일 개막…AI 반전 기회될까
[옥송이기자] 애플이 2025년 세계개발자회의(WWDC)를 내달 9일(현지시간)부터 13일까지 개최한다고 21일 발표했습니다. WWDC는 매년 9월 열리는 아이폰 신작 출시와 더불어 애플의 연중 최대 행사 가운데 하나입니다. 전세계 애플 개발자와 미디어에 새로운 소프트웨어 및 기기를 소개하는 자리입니다.
올해 WWDC25는 한국 시간 기준 10일 오전 2시에 시작하며 키노트는 플랫폼 관련 내용으로 전개될 예정입니다. 발표는 애플 홈페이지, 애플 TV, 애플 유튜브 채널 등에서 라이브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키노트 후에는 iOS, 아이패드OS, 맥OS, tvOS, 비전OS, 워치OS와 더불어 애플 개발 도구가 소개됩니다. 아울러 애플 앱과 게임 개발과 관련해 개선된 사항을 알려주는 100개 이상 세션이 마련됐습니다.
IPTV, 새로운 시청률 지표 선보인다…통합 시청데이터 플랫폼 출시 ‘초읽기’
[강소현기자] IPTV(인터넷TV) 3사가 연내 ‘통합 시청데이터 플랫폼’ 출시를 준비 중인 가운데, 시청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민관협력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KT(지니TV)·SK브로드밴드(Btv)·LG유플러스(U+tv)등 IPTV 3사가 연내 출시를 준비 중인 이 플랫폼은 전국 17개 시도 가입자 셋톱박스(STB) 기반의 전수 시청 이력 데이터를 시각화여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업계는 이번 플랫폼 출시가 새로운 시청률 지표가 생긴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보고 있습니다. TNS미디어코리아가 지난 2023년 시청률 조사 사업을 접은 뒤 현재 시장은 닐슨 미디어의 독주체제로, 비교할 만한 다른 데이터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향후 플랫폼은 광고주에게도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시청데이터를 상업용 데이터로 가공하기 위한 사업자의 노력과 고민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이뤄졌습니다. 현재는 방송프로그램과 광고 간 데이터베이스(DB)가 별도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중장기적으로 데이터 신뢰 확보를 위한 민관협력도 필요할 것으로 이야기됐습니다. 데이터 수집·확보와 데이터 신뢰성 확보, 데이터 거래 활용 차원에서 통합 시청지표 산출 및 활용을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할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내 최애가 캐릭터로?"…IPX, 'NCT 드림' 캐릭터 '드리미즈' 출격
[채성오기자] 디지털 IP 엔터테인먼트 기업 IPX(구 라인프렌즈)가 'NCT 드림(NCT DREAM)'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캐릭터 브랜드 '드리미즈(DREAMIEZ)'를 론칭해 글로벌 K-팝 팬덤 공략에 나섭니다. 드리미즈는 NCT 드림 IP를 기반으로 제작하는 캐릭터 브랜드로 IPX와 SM엔터테인먼트의 협업을 통해 기획·제작됐는데요.
IPX는 드리미즈를 연내 공개하는 한편 '라인프렌즈 스퀘어' 글로벌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 굿즈 상품도 판매할 계획입니다. 이미 라인프렌즈 홈페이지에는 드리미즈 관련 카테고리가 설정돼 있으며 캐릭터 론칭 직후 해당 기획 상품들이 게재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7년 방탄소년단(BTS) 멤버들이 참여한 캐릭터 브랜드 'BT21'을 선보였던 IPX는 트레저(트루즈), 뉴진스(비니니)에 이어 NCT 드림의 드리미즈로 글로벌 K-팝 팬덤층 공략을 강화한다고 하네요.
웹툰도 ‘쇼츠’ 시대… 네이버웹툰·카카오엔터, 숏폼 경쟁 본격화
[조윤정기자] 웹툰 시장에도 ‘숏폼’ 바람이 거세죠.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숏폼 콘텐츠가 주류로 자리잡으면서, 주요 플랫폼들도 웹툰 기반 짧은 길이의 콘텐츠를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네이버웹툰은 연내 숏폼 애니메이션 서비스 ‘컷츠(Cuts)’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21일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컷츠는 현재 개발 막바지 단계로, 하반기 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컷츠’는 전문 작가는 물론 일반 사용자도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기반 서비스입니다. 누구나 짧은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업로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장르나 IP에 제한 없이 자유로운 창작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한편, 지난달 카카오엔터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웹툰 숏폼 영상 제작 서비스 ‘헬릭스 숏츠(Helix Shorts)’를 출시했습니다. 해당 기능은 영상 제작부터 추천, 노출까지 전 과정을 AI가 자동화합니다. 이용자는 앱 홈화면에서 AI가 자동으로 요약한 약 40초 분량의 웹툰 소개 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작품의 줄거리와 관전 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작품의 초반 줄거리와 주요 장면을 기반으로, 어울리는 음악과 자막을 함께 구성해 독자들이 영상만으로도 해당 웹툰의 분위기와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W협단체, 민주당에 ‘AI 강국’ 로드맵 제시…“정책 일원화 시급”
[이안나기자] 14개 소프트웨어 협단체가 이재명 대선후보 캠프를 방문하여 'AI·SW 기반 혁신 선도국가 실현'을 위한 정책 제언을 전달했습니다.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12개 어젠다를 담은 제언집이 민주당에 전달되었습니다. 협단체들은 'AI·디지털 정책 추진 체계 고도화'를 핵심으로 제안했습니다. 현재 여러 부처에 분산된 정책을 통합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를 '인공지능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개편하고 부총리급 위상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AI·SW 인프라 5대 프로젝트'를 통해 2030년까지 GPU 5만장 확보, 데이터 유통 활성화, 한국형 LLM 상용화, AI·SW 인재 10만명 양성, 초거대 AI R&D 20개 과제 추진 등의 국가 전략이 제안되었습니다. 또한 의료·물류·제조 등 6대 산업 권역에 'AI+X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창업펀드와 스케일업 트랙을 통해 유니콘 기업 20개 육성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와 함께 AI 민원·복지 통합 포털, 전 국민 대상 AI 리터러시 교육 등 포용적 생태계 조성 방안도 제안되었습니다.
토스인슈어런스 설계사 노조, 회사측에 “DB가격 인상 금지” 요구
2025-05-21 17:30:34[레드햇 서밋 2025] APAC CTO "韓, 비용보다 가치 중심 AI 전략 필요"
2025-05-21 17:20:27SKT 해킹은 北 소행?…과기정통부 "확인된 바 없어"
2025-05-21 17:05:11[DD퇴근길] "AI 강화된 iOS19"…애플, WWDC25서 보여줄 혁신은
2025-05-21 17:04:30“연애만 하냐고? 친구도 만든다”…틴더, Z세대 데이팅앱 사용법 공개
2025-05-21 17: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