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드2025] 챗GPT 넘은 협업…MS 애저, ‘그록’으로 AI 모델 생태계 확장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AI 생태계 주도권 강화를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 AI 파운드리’를 개편하고, 최신 AI 모델과 에이전트 개발 도구를 대거 공개했다. xAI, 미스트랄, 라마 등 외부 모델을 대거 통합하며 AI 모델 생태계를 대폭 넓혔다.
19일(현지시간) 개최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MS 빌드 2025’에서 사티아 나델라 CEO는 애저 파운드리를 “AI 에이전트 시대 애플리케이션 생산 라인”으로 규정하고, 다양한 최신 모델과 도구를 추가해 플랫폼을 확장했다고 발표했다.
가장 주목받은 발표는 일론 머스크 AI기업 xAI가 개발한 언어모델 ‘그록(Grok)’의 애저 공식 탑재다. 머스크는 해당 모델 공개 당시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AI”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MS는 그록3 및 경량버전인 그록3 미니를 직접 호스팅하고 요금까지 부과하는 ‘퍼스트파티 모델’로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일론 머스크는 행사에서 공개된 영상 대담에서 “그록은 물리학 제일원리 추론 방식을 기반으로 설계돼 근본적인 진실에 가까운 결론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개발자들 피드백을 적극 수렴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정직이 AI 안전 핵심이며, 실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빠르게 인정하고 수정하는 투명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에서 MS는 그록 외에도 다양한 오픈모델들을 애저 AI 파운드리에 추가했다고 전했다. 메타 라마, 프랑스 미스트랄 모델 등도 포함됐다. 이로써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AI 모델 범위는 파트너사 및 MS 제공 모델을 포함해 1900개 이상으로 확대됐다.
나델라 CEO는 “모델 선택권은 더 이상 제약이 아닌 경쟁력”이라며 다양한 모델을 단일 환경에서 혼합하고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안전한 데이터 통합, 모델 맞춤화, 엔터프라이즈급 관리 기능도 제공돼 보다 정밀한 AI 운영이 가능해졌다.
이 같은 전략 변화는 MS의 AI 클라우드 생태계 운영 방식이 과거와는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챗GPT 출시 초기였던 2022년 말, MS는 오픈AI에 클라우드 리소스를 집중 투자하며 독점적인 전략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이제는 다양한 AI 모델과 기업을 포용하는 개방형 생태계로 확장하는 흐름을 택했다.
MS는 AI 모델을 용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비교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도 함께 공개했다. ‘모델 라우터’는 특정 쿼리나 작업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자동으로 선택해준다. ‘모델 리더보드’는 정확도, 비용, 처리속도 등을 기준으로 모델 성능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한다.
이번 빌드2025에선 단순히 모델을 실행하는 단계를 넘어, 여러 AI 에이전트를 조합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 대폭 강화됐다. ‘애저 AI 파운드리 에이전트 서비스’는 다양한 전문 에이전트를 연결해 하나의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픈소스 기반 프레임워크 ‘시맨틱 커널’과 ‘오토젠’을 하나의 SDK로 통합 제공한다.
이번 빌드 2025에서는 모델 실행을 넘어서, 복잡한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조율하는 기능이 대폭 강화됐다. ‘애저 AI 파운드리 에이전트 서비스(Azure AI Foundry Agent Service)’는 여러 전문 에이전트를 조합해 하나의 복합적 워크플로우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으며, 오픈소스 기반 프레임워크인 ‘시맨틱 커널(Semantic Kernel)’과 ‘오토젠(AutoGen)’을 단일 SDK 내에 통합해 개발자의 접근성과 생산성을 높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A2A(Agent-to-Agent)’와, 모델 실행 흐름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이다. 이 기능을 통해 단일 챗봇 수준을 넘어, 여러 AI가 협업하는 복잡한 업무 시나리오도 구성할 수 있다. MS는 MCP를 자사 주요 제품군에 적용해, AI 에이전트가 다양한 환경에서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확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MS는 AI 에이전트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MCP 생태계 확대와 웹 환경을 위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프로젝트 ‘NLWeb’을 발표하며 오픈 에이전트 웹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이제 우리는 단순한 요청-응답 기반 API를 넘어서, 상태를 유지하고 여러 모델이 함께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있다”며 “진정한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려면 완전한 앱 플랫폼이 필요하며, 파운드리가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에 바란다⑬] 대기업 없는 K-시큐리티…'만년 유망주' 뗄 정책 의지 필요
2025-05-21 06:10:00[NSIS 2025] 아톤 "양자컴 상용화는 SF 아닌 현실…PQC로 예방"
2025-05-20 18:15:086월부터 비영리법인·가상자산거래소, 가상자산 매도 허용… 고객확인 강화
2025-05-20 17:42:37작년 하반기부터 '가상자산' 불붙었다… 시가총액·원화예치금 급증
2025-05-20 17:29:46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