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1분기에만 76개 점포 줄여… 금융당국 제동거나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시중은행들이 올해 1분기에 영업점을 70곳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은 점포 경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밀집도가 높은 곳의 점포를 줄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취약 계층의 금융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금융당국은 점포 폐쇄 관련 가이드라인을 손질해 은행권의 행보에 제동을 걸 것으로 보인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올해 1분기 기준 보유한 점포 수(출장소 포함)는 3766개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4분기(3842개)와 비교해 76개 감소한 수치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이 35개의 점포를 줄인 반면 7개를 신설하는 데 그쳤다. 국민은행의 경우, 28개의 점포를 줄였으며, 우리은행 또한 26개의 점포를 폐쇄했지만 같은 기간 1개의 점포만을 개점했을 뿐이다.
하나은행은 2개의 점포를 줄였으나 6개를 신설하면서 전 분기보다 보유한 점포수가 증가했다. 농협은행은 점포를 줄이지 않은 대신 1개의 점포를 신설했다.
두 자리수 규모의 '점포 다이어트'를 실행한 세 은행은 경영 효율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5개는 지점에서 출장소로 전환한 사례이며, 30개 중 27개는 '한 지붕 두 가족' 형태의 지점을 통합한 것"이라며 "나머지 3개도 1km 이내의 근거리 점포를 통합한 사례이기에 실질적으로 3개 점포가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고 해명했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 관계자 역시 "매우 인접한 영업점을 통폐합했다"고 밝혔다.
한편으로는 은행들이 경영 효율만 따지다 노인 등 금융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지적 또한 존재한다.
더군다나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금융위원회는 2023년 5월 '은행 점포 폐쇄 관련 공동절차'를 발표한 바 있다. 점포를 닫기 전에 외부 전문가, 주민의 의견을 들어야 하도록 해야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반경 1km 안에 있는 점포를 통폐합하는 경우 조항을 적용하지 않는다"를 근거로 은행들이 무분별하게 점포를 줄이고 있는 것이다.
당국은 다음달 공동절차를 수정한 뒤 발표할 예정이다. 예외조항을 없애는 방안이 거론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은 아직 검토 중이기에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예외조항을 삭제하거나 수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선 2025] 김문수 “경제 판갈이”…규제혁신처 신설·AI 100조 투자 공약
2025-05-18 16:17:58[툰설툰설] 웃픈 현실 속 생존기… ‘슬프게도 이게 내 인생’ vs ‘아오링 도쿄’
2025-05-18 15:54:47SKT “고객정보 유출 따른 피해 없다”…추가 악성코드 발견 여부엔 “곧 정부 발표있을 것”
2025-05-18 11:45:45美 AI칩 중동 빗장 풀리자 中 우회 수출 우려 확산…젠슨 황 '부인'
2025-05-18 11:19:555대 은행, 1분기에만 76개 점포 줄여… 금융당국 제동거나
2025-05-18 11:0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