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솔루션

KT클라우드 최지웅 대표 “AI 혁신 실현하는 통합 플랫폼 되겠다” 선언

권하영 기자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고객들이 AI 서비스를 쉽게 만들고 확장할 수 있게끔 엔드투엔드(End to End, E2E)를 책임지는 통합 플랫폼 사업자가 되겠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는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KT 클라우드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히며 기술 중심의 통합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인공지능(AI)·클라우드·데이터센터를 수직 통합한 구조를 통해 고객이 쉽게 진입하고 확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최 대표는 “작년 한 해 동안 가장 공들였던 부분이 바로 인재 확보”라며 “KT클라우드의 비전을 같이 만들고 도약을 함께 해 달라고 업계 인재들을 찾아다녔다”고 말했다.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러한 인적 기반을 먼저 마련한 뒤, AI 시대 클라우드 전환에 필요한 아키텍처를 본격 구축해왔다는 설명이다.

기술 내재화 노력은 실제 인프라 혁신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KT클라우드는 기존 하이퍼바이저 방식의 한계를 넘기 위해 컨테이너 기반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빙 기술을 도입하고, 글로벌 파트너사인 웹스페이스와 협력해 서비스형인프라(IaaS)부터 서비스형플랫폼(PaaS)까지 클라우드 전체 인프라의 컨테이너화를 추진 중이다. 이러한 기술 전환은 다음 달 개소 예정인 경북 CDC(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구체적으로 적용된다.

최 대표는 “신규 데이터센터를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상황에서 KT클라우드는 2030년까지 총 300메가와트(MW) 이상 데이터센터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이로써 압도적인 규모와 기술로 앞서 나가기 위한 작업들을 준비 중”이라 전했다.

KT클라우드는 ‘AI 파운드리(AI Foundry)’ 전략도 병행 중이다. 앞서 KT클라우드는 업스테이지·디노티시아·폴라리스오피스·리벨리온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토대로,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량화된 AI 모델과 모듈형 검색증강생성(RAG) 서비스를 통해 AI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현하는 AI 파운드리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계획을 알렸다.

최 대표는 “기업들이 GPU와 NPU(신경망처리장치)를 굉장히 확장하고 있으므로, 글로벌 AI 칩 벤더에 대한 투자와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을 해 나갈 것”이라며 “AIOps가 중요해지면서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 자동화된 처리 방식이 필요한 만큼, 이러한 부분들이 확장돼 서비스 스택이 만들어지면 국내에서도 AI의 버티컬 적용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궁극적으로 KT클라우드가 지향하는 방향은 고객의 AI 혁신을 실현하는 엔드투엔드 통합 플랫폼이다. 제조·의료·금융 등 버티컬 산업에서 고객이 쉽게 AI 서비스를 설계·운영할 수 있도록, 인프라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일관된 구조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엔드투엔드 플랫폼 전략은 KT클라우드가 단순한 인프라 공급자에서 벗어나, 기업 고객이 AI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전 과정 즉 AI 인프라 설계부터 운영·자동화·실증까지 포괄하는 일괄형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기술 내재화 여력이 부족한 산업군이나 중소·중견 기업의 경우, KT클라우드의 ‘끝단까지 지원하는 구조’는 실질적인 경쟁력 확보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는 AI가 특정 기술이 아니라 하나의 ‘운영체계’로 확장되는 흐름 속에서, 고객이 도입 장벽을 넘고 빠르게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업이 제공해야 할 역할이 근본적으로 달라지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최 대표는 “이런 부분들은 단순히 인프라적인 확장뿐만 아니라 고객의 혁신을 기술로 가속화시키기 위한 저희의 노력”이라며 “하루아침에 될 건 아니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서 변화가 될 수 있게끔 하겠다”고 전했다.

권하영 기자
kwonhy@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