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금융노조의 '주 4.5일 근무제' 요구… 국민적 공감대 먼저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제갈량은 중원으로 진출하기 위해 먼저 남만을 평정했다. 후방으로부터의 위협이 없어진 이후에 그는 황제 유선에게 출사표를 던졌다.
무언가를 얻으려면 뒤부터 든든히 해야 한다. 그래야 후환이 없다. 이 전략은 시대를 관통해 지금에도 유효하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가 지난 8일 더불어민주당과 '대통령선거 승리를 위한 정책 협약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 주목을 끌었던 이슈는 단연 '주 4.5일 근무제' 였다.
앞서 금융노조가 '주 4.5일 근무제' 도입 등 노동시간 단축, 정년 연장, 임금피크제 개선을 요구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미 대선 전부터 금융노조는 종종 은행과 금융지주에 줄곧 처우 개선을 요청했다. 그러나 요구는 묵살됐고 투쟁에 들어가는 등 악순환이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마침 유력 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주 4.5일 근무제 공약을 내걸었던 것이다.
금융노조는 이 기회가 적기라고 판단한 듯 싶다.
그러나 금융노조가 간과하는 부분이 있다. 현재 은행의 대외 평판이 지극히 좋지 않다는 점이다.
예대금리차가 8개월 연속 확대되면서 은행들은 나홀로 '실적 호황'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율이 하향 조정할 정도로 실물 경제가 악화일로인데 은행권은 올 1분기 또 다시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국민을 상대로 '이자장사' 한다는 비판이 당연히 뒤따를 수 밖에 없다.
또한 점포 또한 줄어들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올해 1분기 기준 보유한 점포 수는 3766개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3842개)와 비교해 무려 76개 감소한 수치다. 은행이 그동안 오프라인 점포를 통해 수행해왔던 '사회 공공재'적 기능마저 크게 감소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점포 폐쇄를 보완하기위한 대체 투자에는 시큰둥하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 노조의 '주 4.5일 근무제'가 과연 국민들로부터 정서적 호응을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물론 금융노조는 억울할 수 있다. 예대마진과 점포 경영을 총괄하는 곳은 노조가 아닌 은행 경영진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국민들은 금융노조와 은행을 분리해서 보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은 그저 "이자장사에다 금융 접근성마저 저하시키면서 이제는 일 마저 적게하겠다는 심산"이라며 분개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금융노조는 '주 4.5일 근무제'에 앞서 사회적 공감대를 얻기위한 노력부터 해야한다. 쟁취하고 싶은 것이 있을때는 먼저 우군을 확보하라는 제갈량의 전술을 따로 언급할 필요도 없이, 금융노조를 지지할 든든한 아군을 확보하는 것이 더 먼저 해결해야할 과제다.
그 아군은 다름아닌 고객들, 즉 국민적인 공감대다.
금융노조는 이자장사 논란과 점포 축소 관행에 대해 은행 경영진을 먼저 성토해야 한다.
'물들어올때 노젓는다'는 식으로 성과급 잔치를 하면서도 정작 스스로의 기득권을 내려놓지 못하고, 양보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주 4.5일 근무제' 에 대한 국민적 지지와 동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은 불보듯 뻔하다.
[NSIS 2025] 아톤 "양자컴 상용화는 SF 아닌 현실…PQC로 예방"
2025-05-20 18:15:086월부터 비영리법인·가상자산거래소, 가상자산 매도 허용… 고객확인 강화
2025-05-20 17:42:37작년 하반기부터 '가상자산' 불붙었다… 시가총액·원화예치금 급증
2025-05-20 17:29:46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촉발된 'AI 저작권'…"법·정책 논의 필요해"
2025-05-20 17: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