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빅테크 24시] 美-中 보복 관세에 틱톡 인수 불발…트럼프는 '자신만만'

조윤정 기자

아마존, 애플, 구글(알파벳), 메타(옛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 미국 중심의 빅테크(Big Tech) 기업들은 지금 이 시간에도 기술패권 경쟁을 위해 천문학적인 투자와 창의적인 실험을 감행하고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는 빅테크로 불리는 기술 기업들의 근황과 비전을 소개하고, 한국 시장에서의 공존과 경쟁을 다양한 각도에서 들여다 봅니다. <편집자 주>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조윤정기자] 중국 정부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 관세 조치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반발로 풀이된다.

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추가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틱톡의 미국 내 소유권 이전을 위한 협상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가장 최근의 유예 조치는 미국 관리들이 미국 투자자들이 대다수 지분을 보유하는 ‘미국판 틱톡’ 설립을 위한 협상을 거의 마무리한 지 이틀 만에 이뤄졌다. 해당 거래는 바이트댄스의 동의를 얻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총 관세율을 54%까지 인상하는 강경 조치를 2일 발표한 이후 무산됐다. 이 거래가 성사될 경우, 미국 투자자들이 대다수 지분을 보유하고 운영을 담당하며, 틱톡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는 소수 지분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호 관세 부과 조치가 발표된 후, 바이트댄스 관계자들은 백악관에 전화를 걸어 중국 정부가 무역 및 관세 협상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이번 거래를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5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중국 상무부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와 미국 군수기업에 대한 제재를 포함한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이어 4일, 중국 국무원은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인수 거래가 75일의 연장 기간 내에 성사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 행정부는 틱톡을 유지하기 위한 거래 성사를 위해 최선을 다해 왔으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이어 "거래 완료를 위한 승인 절차가 남아 있어, 틱톡 운영을 75일 더 유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며, "틱톡 및 중국과 협력해 최종 합의를 이끌어내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바이트댄스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현재 미국 정부와 잠재적인 해결책을 논의 중이지만, 아직 합의에 이르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여전히 해결해야 할 핵심 사안들이 남아 있으며, 모든 합의는 중국 법률에 따른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외교부는 “중국 정부는 해외에 보관된 데이터나 정보를 기업에 요구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6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으로 이동하는 비행기 안에서 상호 관세 부과와 관련해 또다시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대중국 무역 적자가 해결되지 않으면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대미 무역 흑자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틱톡은 미국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 5일 팸 본다이 법무장관으로부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틱톡 금지 일시 중지 연장 행정명령을 준수하라는 내용의 서신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2월에도 애플은 본다이 장관으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1월 행정명령을 이행하라는 유사한 서신을 받은 후, 앱스토어에서 틱톡을 다시 복원한 바 있다.

조윤정 기자
y.jo@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