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美 반도체 보조금 재검토 시사…삼성·SK, 美 투자 변수 커지나 [소부장반차장]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보조금 프로그램의 전면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3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상무부 산하에 '미국 투자 가속기(US Investment Accelerator)'를 신설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주목할 점은 이 조직이 '반도체법 프로그램 사무소(CPO)'를 관장하게 됐다는 것이다. CPO는 원래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시킨 독립 기구로, 반도체법에 따라 보조금 지급과 예산 집행, 기업 협상 등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CPO가 새로 출범한 투자 가속기 아래로 들어가면서, 반도체 보조금 정책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에 강하게 종속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법을 '엄청난 세금 낭비'라고 비판하며, 기업에 보조금을 주는 대신 관세를 부과하면 자발적으로 미국에 공장을 지을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월 출범 직후 CPO 인력 150명 가운데 22명만 남기고 대거 해고했다. 이는 바이든 정부 당시 체결된 반도체 보조금 계약을 재검토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 테일러에 370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로부터 47억4500만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에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AI 메모리용 첨단 패키징 공장을 건설 중이며, 4억5800만달러의 보조금을 약속받았다.
문제는 이들 보조금이 '일괄 지급'이 아닌, 투자 진척도에 따라 '순차 지급'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점이다. 결국 향후 트럼프 행정부가 보조금 조건 변경 혹은 지급 보류 등의 결정을 내릴 경우, 삼성과 SK의 미국 내 투자 계획에도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
홈플러스 사태로 난리인데 ‘약간의 잡음’?… MBK 김병주 회장, 서한 논란
2025-04-02 20:06:59“美 USTR, 해외CP에만 망사용료 요구하는 것처럼 호도”
2025-04-02 19:00:20[DD퇴근길] "초안 이달 중 공개"…세계 최초 'AI 기본법', 시행령 내용은
2025-04-02 17:48:02티캐스트 이채널, 방송·디지털 아우르는 신작 라인업 공개
2025-04-02 17:48:00틱톡, 운명의 날 임박…"美사업권 인수, 2일 최종 처리방안 논의"
2025-04-02 17:2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