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통신사”vs“무분별한 자산 매각”...주총서 부동산 매각 두고 설전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왜 호텔사업에 그렇게 관심을 보이는지 잘 모르겠다. KT는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서, 관련 전략으로 설정하고, 이 본업 발전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31일 개최된 제43기 KT 주주총회에서 부동산 매각을 두고 ‘무분별한 자산 처분’ 취지 비판을 제기한 주주를 향해 이같이 강조하며 반박했다. KT의 호텔사업 철수 및 부동산 매각 결정은 KT가 현재 취하고 있는 AI 전략에 필요한 자금 마련 차원이라는 주장이다.
김 대표는 “(부동산 매각은) 본업으로 규정하는 AI 사업 성장을 도모하는 중요한 재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라며 “부동산은 가능한 가치가 높을 때 잘 선택해서 팔고, 본업 발전에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경영진이 해야 할 마땅한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날 주주총회에 참석한 일부 주주들은 목적사항 의결 과정에서 지난해 KT가 발표한 호텔 사업 철수 및 부동산 매각 결정에 대한 구체적인 해명을 요구했다. 실질적으로 KT에 이익을 가져다주는 호텔사업 철수는 주요 수익창구를 잃는 것이라는 취지다. 또, KT 새노조에서는 이 같은 KT 경영진 행보가 연임을 위한 단기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KT는 과거 기간통신사 시절 다수 전화국 부지를 보유 중이었으나, 민영화 및 장비 발달로 일부 기지국들은 필요 없는 유휴부지로 남게 됐다. 이에 해당 부지를 활용해 호텔 사업 등을 영위했으나, 김영섭 대표는 AI 사업에 집중하고, 이를 위한 자본 확보 명목으로 사업 철수를 결정한 바 있다.
관련해 한 주주는 “KT에서 유휴부지가 남으니까 호텔을 짓고 사업을 하게 된 것”이라며 “김영섭 대표가 오자마자 호텔사업을 철수하는 것은 납득이 되질 않는다. 호텔업에 전혀 뜻이 없다면, 사업자 등록에서 부동산업도 다 빼버려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박하기도 했다.
이에 김 대표는 “가지고 있는 자본을 용용하게 투자 및 처분해서 수익을 지속적으로 많이 내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경영진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틱톡, 운명의 날 임박…"美사업권 인수, 2일 최종 처리방안 논의"
2025-04-02 17:22:47기업은행 "지방 기술기업, 기술인력 채용시 1인당 300만원 지원"
2025-04-02 16:32:03BNK부산은행, 미래형 디지털점포 개설… "직원과 화상상담으로 창구업무"
2025-04-02 16:29:45韓 에폭시 레진, 美 반덤핑관세 최대 19%p ↓…산업부·업계 공동 대응 '성과'
2025-04-02 16:2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