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영섭 “비합리적 구조조정 없었다…자회사로 재배치, 퇴직금 보상할 것”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지난해 주주총회에서 비합리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단행된 인력재배치에 비합리적인 부분이 있었나. 구조조정은 가능한 합리적으로 했고 마지막까지 조정 대상 직원의 선택권을 보장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31일 개최된 제43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지난해 단행된 인력배치에 대해 언급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경영권 중요한 결정 사항으로서 인력 배치를 고민했고, 효율화를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는 취지다.
이날 목적사항 의결 과정에서 주주 자격으로 주주총회에 참석한 KT 새노조원들은 의사 진행 발언에서 김 대표를 향해 지난해 단행한 KT 구조조정 과정과 관련해 부당한 처사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KT 새노조는 회사가 통신 인프라 분야 직원 5700여명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했으며, 그 과정에서 부당한 처사에 비관한 직원이 스스로 세상을 등지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련해 당시 KT는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 전환을 위해 혁신 차원에서 효율화 차원에서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는 입장을 전했다.
관련해 김 대표는 “지난해 주주총회에서 (구조조정은) 경영자가 늘상 염두해야 하는 일이라 말했었다. 비합리적인 상식선에서 벗어난 구조조정은 안 하겠다고 말한 것”이라며 “지난해 10월 구조조정한 것은 합리적인가 비합리적인가 생각해봐야 문제다. KT는 통신 기업으로서 통신선로 배치와 관리 운영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통신)선로 관리 분야 종사자 대부분이 50대 이상으로 집계됐다. 인력 구조가 신입, 중참, 고참 등 고루 구성돼야 하는데, 신입 사원을 뽑을 수 없는 구조였다”며 “10여년동안 신입 사원 못뽑았고, (새로운 인력 구성을 위해서는) 합리적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이에 주주석에서 “신입 사원을 못 뽑은 게 아니라 안 뽑은 것”이라는 비판 목소리가 이어졌다. 당초 신입사원 채용에 소극적이었으며, 구조조정 명분으로는 부족하다는 취지다.
김 대표는 “관련해 통신인프라 자회사를 만들어 인력을 배치하고, 정년이 끝나더라도 직원이 회사와 부합하고, 기술이 있고, 의지가 있으면 2~3년 가량 추가로 근무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며 “KT 본사 퇴직 급여와 차이는 전액 보상하겠다고 했다. 구조조정하지 말아야 할 정도 비합리적인 부분이 있었나”하고 반박했다.
한편, 지난해 12월31일 기준 KT 사내 기간 정함이 없는 근로자 수는 전년 대비 16.89% 감소한 1만5812명으로 집계됐다. 근 5년 간 임직원은 꾸준히 감소해왔으나 지난해 감축폭이 가장 컸다. 근 5년 기간 정함 없는 근로자 수 변화를 살펴보면, ▲2019년 2만2810명 ▲2020년 2만2123명 ▲2021년 21,087명 ▲2022년 19823명 ▲2023년 19026명이다.
망사용료 또 언급한 美 USTR, 통상마찰 우려 있나 [IT클로즈업]
2025-04-01 17:58:58산업기술보호법 시행령 개정안 '맹탕' 논란… '검은 머리 외국인'에 의한 국가 핵심기술 유출 우려↑
2025-04-01 17:1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