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올해 생태계 내 다양한 형태의 이용자 AI 서비스 론칭"
[디지털데일리 최규리 기자] 카카오는 올해 카카오톡과 비즈니스 생태계 전반에 AI 기능을 적극 적용해 이용자 활동성을 강화하는 전략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일상 속에 AI 서비스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AI 기반의 새로운 검색 및 추천 기능을 통해 커머스·로컬·검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익성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13일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카카오는 올해 상반기 카카오톡 내 AI 메이트를 정식 출시할 계획”이라며 “이는 AI 메이트는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요청을 분석하고 최적의 추천을 제공하는 서비스다”고 발표했다.
정 대표는 이같은 서비스들이 기존 카카오 서비스를 강화하는 진입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AI 메이트 쇼핑과 AI 메이트 로컬이 톡 채널 형태로 출시될 예정이며, 이후 카카오 커머스와 카카오맵 등 다른 서비스에도 적용될 계획이다.
정 대표는 “AI 메이트 쇼핑은 이용자의 니즈에 맞게 초개인화된 선물이나 자기 구매를 위한 상품을 추천해 주면서 카카오톡 내 커머스의 전환율을 높여 거래액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AI 메이트 로컬의 경우 이용자 요청에 맥락에 맞는 다양한 장소를 추천해 주면서 카카오 내 로컬 생태계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쇼핑과 로컬을 시작으로 다양한 버티컬의 메이트를 출시하면서 AI를 활용한 기존 사업의 강화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카카오는 올해 쇼핑과 로컬을 시작으로 다양한 버티컬(Vertical) 영역의 AI 메이트를 확장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올해 생성형 검색 기능을 본격적으로 강화한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카카오 비즈니스 생태계 전반에서 그동안 제한적이었던 생성형 검색의 맥락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며 “카카오가 선보일 생성형 검색 서비스는 일부 글로벌 서비스들과도 유사한 형태로 이용자들이 요청한 내용의 문맥까지 추론해서 최적의 답변을 요약 정리한 콘텐츠를 생성하면서 기존 서비스들에서 검색하고 찾는 과정을 반복했던 액션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카카오가 가진 압도적인 트래픽 대비 검색 활동성 자체는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정 대표는 기존의 샵 검색과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에 AI를 적용해 이용자들이 카카오의 생태계 내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맥락을 만들며, 채팅에 집중된 목적형 트래픽 외로 확장을 노리는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수익화 지면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올해 매출 목표 28조원"…KT, MS 손 잡고 선보일 AX는? (컨콜 종합)
2025-02-13 19:22:41올해는 어쩌나…통신3사, 2024년 합산 영업익 20% 뚝
2025-02-13 18:33:10고려아연 경영문제 직격했던 영풍, 실적 발표 눈앞… 경영능력 비교될까 '촉각'
2025-02-13 17:59:52KAIT, 제6차 '디지털 인사이트 포럼' 개최…AI 로봇의 현재와 미래는?
2025-02-13 17:51:28[컨콜] "통신보단 AI"…KT "6G 설비투자, 표준 제정 이후에나"
2025-02-13 17:4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