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2세대 AI폰' 갤S25, 흥행 청신호…MX 부문 기대감 상승
[디지털데일리 옥송이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S25 시리즈로 AI폰 대세를 이어간다. 지난해 갤럭시 S24 시리즈가 무주공산이던 생성형 AI폰 시장에 깃발을 꽂았다면, 2세대 AI폰 갤 S25는 보다 고도화된 AI 성능과 가격을 앞세워 소비자 접근성까지 확대한다.
이달 7일 삼성전자는 자사 2세대 AI폰인 갤럭시 S25 시리즈를 출시했다. 삼성은 이번 신작을 두고 ‘진정한’이라는 키워드를 붙였다. 지난달 22일 갤럭시 S25 시리즈를 공개한 언팩 행사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 사장이 "갤럭시 S25 시리즈는 진정한 인공지능(AI)폰 시대의 시작"이라고 언급했다.
노 사장은 S25 시리즈를 'AI 동반자'라고 칭하며 전작 대비 높은 판매고를 올릴 것이란 기대감을 드러냈다. 갤럭시 S24 시리즈에는 1세대 AI폰으로써 갤럭시 AI를 널리 알리는 등 모바일 AI 시장의 포문을 연 데 의의를 뒀다. 반면 갤럭시 S25 시리즈는 멀티모달을 탑재해 보다 자연스러운 AI 경험을 제공한다. 진화한 AI가 결국 S25 의 성공을 이끌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갤럭시 S25 시리즈에는 통합형 AI 플랫폼으로 설계된 원 UI 7이 탑재됐다. AI가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사용자 접점에서 상황을 이해하고 분석해 개인화된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전작 대비 자연어 이해 기술이 향상됐다.
예를 들어 갤러리에 있는 사진을 검색할 때 날짜나 장소만 입력하면 AI가 이를 분석해 적합한 사진을 찾아낸다. 또한 자사 음성비서인 빅스비와 구글 제미나이가 탑재돼 복잡한 작업도 보다 쉽게 해결한다. AI가 여러 앱을 넘나들며 작업을 처리해서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S25 시리즈에 AI 진정성까지 꺼내들며 2세대폰 마케팅에 사활을 거는 배경엔 전작에 대한 부담감이 자리한다. 지난해 초 출시했던 갤럭시 S24 시리즈는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 담당 MX부문의 1년 성적에 영향을 미칠만큼 큰 흥행 성적을 거뒀다.
갤럭시 S24 시리즈 판매량은 전작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고, 삼성 스마트폰의 평균판매가격(ASP) 상승에도 기여했을 정도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집계에 따르면 재작년 288달러(41만원)였던 삼성 스마트폰 ASP는 지난해 299달러(43만원)를 기록했다. 3.8% 증가한 수치다.
통상 ASP 숫자가 높을수록 비싼 제품이 팔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지난해 삼성전자 스마트폰 출하량 자체는 소폭 감소했지만, 프리미엄 제품인 갤럭시 S24 시리즈 덕분에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 S24 시리즈는 자사 뿐 아니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생성형 AI폰 시장을 개화시킴으로써 수많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AI폰 시장 진입이 뒤따랐다. 중국 제조사들은 물론 최대 경쟁사 애플도 자체 AI인 애플인텔리전스를 개발하며 AI폰 후발주자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도 활력을 불어넣은 것으로 평가된다. 거시 경제 회복 속 갤럭시 S24발 AI 도입 및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프리미엄화 전략이 소비자들의 수요와 맞아 떨어졌다. 이로 인해 지난해 전세계 스마트폰 매출액은 전년 대비 5% 성장했다. 약 2년간 침체를 겪던 스마트폰 시장이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S25 시리즈 성공을 위해 강수를 뒀다. 가격을 전작과 동결시킨 것이다. 반면 사양은 향상시켰다. 삼성은 이번 S25 시리즈 전 제품에 퀄컴의 최신 칩셋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채용했다. 아울러 기본형 모델까지 12GB램으로 용량을 늘렸다.
삼성은 매년 1분기 출시하는 S시리즈로 ASP를 올리며 수익성을 키워왔다. 그러나 신작은 가격 부담을 줄여 소비자 접근성을 확대하려는 방침이다. 특히 AI폰 주도권 사수를 위한 전략으로도 풀이된다.
올해 스마트폰 시장은 프리미엄뿐 아니라 저가 기기까지 AI 도입이 대폭 확산될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고사양임에도 불구 가격 부담이 낮은 S25 시리즈를 앞세워 전작에서 차지한 'AI폰=삼성' 인식을 이어가겠다는 계산이다.
한편, S25의 고사양·가격 동결 전략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 S25 시리즈는 국내 사전 판매에서 130만대를 달성하며, 역대 최대 신기록을 썼다. 121만대를 판매한 전작을 뛰어넘은 것이다.
이로써 지난해 4분기 다소 주춤했던 MX부문의 실적 개선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MX부문의 해당 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은 직전분기 대비 감소세를 기록했다. 스마트폰 출하량은 5200만대에 그쳤다. 5800만대를 출하했던 직전 분기보다 초라한 성적이다. 폴더블폰 라인업의 저조한 인기 여파다.
삼성은 지난해 7월 갤럭시 Z6 시리즈에 이어 10월에는 Z폴드 SE를 내놨다. 폴더블폰 라인 다각화에도 불구 흥행에서는 쓴맛을 봤다. 다만, 올해 1분기는 S25 시리즈 흥행 청신호가 켜지면서 MX부문의 실적 개선에도 힘이 실린다.
증권가는 올해 1분기 삼성전자 MX부문에 대해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효과가 반영돼 전분기 대비 실적 상승을 점친다. 판매량으로는 4000만대 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소셜계정 탈퇴자 개인정보 파기 미흡…사업자 개선권고"
2025-02-13 12:00:00'해피포인트 운영사' 섹타나인, 개인정보 유출사고에 과징금 14억원
2025-02-13 12:00:00'기회의 땅' 중동으로 떠난다…정부, 정보보호기업과 현지 진출 '총력'
2025-02-13 12:00:00수출입은행 "이차전지, 반도체 등 공급망 생태계 활성화… 최대 10조 지원"
2025-02-13 11:3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