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콘텐츠 가치 하락에도 더 많은 사용료 거둬”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지속 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를 조성하려면 가치 기반의 콘텐츠 대가 산정이 먼저 이뤄져야 합니다.”
김용희 경희대 교수<사진>는 16일 오후 ‘지속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방안’를 주제로 진행된 한국방송학회 추최 세미나에서 “현재 방송시장 내 갈등은 지상파가 가치 이상의 콘테츠 사용료를 가져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와의 콘텐츠 수급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방송매출이 감소하는 상황 속에서 유료방송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진단하고 자생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이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에 발제자로 나선 김 교수는 방송시장 내 재원 배분 구조가 재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국내 방송시장의 재원 구조를 살펴보면 IPTV·케이블TV(SO) 등 유료방송플랫폼 사업자는 콘텐츠 수급에 대한 대가로 가입자로부터 받는 수신료의 일부를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에 배분해왔다.
특히 김 교수는 지상파의 매출기여도가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 여전히 높은 수준의 재송신료(CPS)를 유료방송 플랫폼에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송신료는 지상파 콘텐츠에 대한 이용대가를 의미한다.
재송신료는 2013년 280원으로 처음 산정된 이후, 2021년까지 1.5배 가량 상승했다. 이에 따라 재송신매출도 2013년 1254억원에서 2021년 4079억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게다가 업계에 따르면 IPTV 3사는 지난해 지상파와 재송신료를 단계적으로 인상해주는 방안에 잠정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550원(10%), 2023년 600원(8%), 2024년 650원(8%) 수준으로 추정된다.
김 교수는 ▲지상파 시청률 ▲광고 매출액 ▲FOD의 요인 등을 고려해 각사당 적정 CPS를 ‘147원’으로 추정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지상파 콘텐츠의 가치를 수치화 했을 때 2013년과 비교해 –52.69% 하락했다.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가 이러한 콘텐츠 사용료를 감당할 여력이 없는 현 상황도 지적했다. 케이블TV(SO) 사업자만 해도 2013년 매출 정점을 찍은 뒤 지속 하락해왔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발표한 2023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MSO의 방송 부문 영업이익률은 ▲2018년 12.6% ▲2019년 11.1% ▲2020년 5% ▲2021년 2.5% ▲2022년 1.2%로, 지난 5년간 누적 11.4%포인트(p), 영업이익은 약 2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김 교수는 적정 CPS에 대한 논의와 함께, IPTV가 좀 더 많은 콘텐츠 사용료를 PP에 지급해야한다고도 말했다. IPTV 사업자는 2022년 기준 총 수신료 매출 대비 47.7%의 콘텐츠 사용료를 PP에 지급했다.
김 교수는 “타 (콘텐츠 관련) 산업이 수익의 약 70%를 콘텐츠 사용료로 지급하고 있는 반면, SO가 지급하는 콘텐츠 사용료는 총 수신료 대비 90%에 육박하는 수준”이라며 “방송시장의 지속성을 위해 누가 더 투자할 수 있겠냐 했을 때 IPTV가 그나마 여력이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교수는 이날 시장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이른바 ‘좀비PP’에 대한 퇴출 장치도 마련해줘야한다고 주장했다. OTT와 달리, 유료방송 사업자는 자유롭게 PP를 퇴출시킬 수 없는 가운데, 이는 유료방송 사업자의 경쟁력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PP 가운데 시청률이 0.00001%임에도 불구, 많은 수준의 콘텐츠 사용료를 유료방송사업자로부터 받고 있다"라며 "언제든지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는 OTT와 달리, 현행법상 유료방송사업자는 PP 퇴출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OTT를 상대로)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인터뷰] 돈 되는 렌탈 데이터?...신상용 프리핀스 대표 “렌탈 창업부터 금융 솔루션까지 함께할 플랫폼”
2024-11-23 12:05:50행안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제도개선 착수…“공공SW 전반 변화해야”
2024-11-23 09:39:29주파수 재할당대가, 정부가 부르는게 값? “산정방식 검토 필요”
2024-11-22 18: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