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플랫폼 사업자와 '딥페이크' 허위정보 근절 논의
[ⓒ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23일 딥페이크 허위정보 대응 관련 자율규제 강화를 위한 민관협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딥러닝'과 '페이크’의 합성어인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진위 여부를 구별하기 어렵도록 다른 이미지·영상과 합성한 가짜 이미지나 영상물을 뜻한다.
이날 회의에는 네이버, 카카오, 구글, 메타, 엑스(X, 옛 트위터), 바이트댄스(틱톡)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생성물 표시, 탐지 모니터링, 삭제·차단 조치 등과 관련된 자율규제 현황과 강화 방안 등에 대하여 의견을 나눴다.
이상인 부위원장은 "딥페이크 허위정보로 인한 개인 피해와 사회적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선 플랫폼의 자정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큰 선거들도 앞두고 있는 만큼, 더욱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자율규제에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국내 사업자에게 뮌헨 기술협약 등 글로벌 기업의 자율규제 강화에 상응하는 조치를 요청하고, 글로벌 사업자에게는 국내 사업자 수준의 신속한 조치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3D 아바타 만나는 가상도시"…마와리, AI·XR 더한 '난바 프로젝트' 가동
2025-02-24 11:35:40"금융사고 징후, 즉시 포착"… 우리은행, ‘이상징후 검사시스템’ 공식 가동
2025-02-24 11:34:42토스플레이스, 출시 2년 만에 가맹점 수 10만개 돌파
2025-02-24 11:09:48금감원 “올해 국내자본시장 불법행위 엄단”… 수시검사 등 신속한 감독
2025-02-24 10:30:23카카오페이, HD현대삼호와 맞손…"카카오페이포인트 연동 시스템 구축"
2025-02-24 10: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