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택시기사 의료 복지에 20억 규모 지원
[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작년 한 해 택시, 대리, 퀵, 도보배송 기사 2000여명을 대상으로 긴급 의료비와 생활비 등 20억원 규모에 해당하는 혜택을 제공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해당 지원이 ‘카카오T’ 이용 이력과 관계없이 업계 종사자 모두에게 적용됐다고 1일 이같이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임팩트와 손잡고 지난 2022년 11월부터 ‘의료생계 안심지원’ 사업을 운영해 왔다.
이 사업은 질병, 사고 후유증으로 인해 의료비가 발생했으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료받지 못하는 택시기사들을 위한 것이다. 1인당 최대 1300만원 한도 내에서 건강보험·민간보험의 자기부담금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원했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사업 기간 약 2만5000건이 넘는 상담 문의가 발생했으며, 이를 통해 1년간 총 564명 택시기사와 가족들에게 의료 복지 혜택이 제공됐다.
실제 지급된 금액은 약 20억원으로, 1인당 평균 약 350만원 정도를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기사 의료생계 안심지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해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대리, 퀵, 도보배송 등 플랫폼 종사자들의 건강권 보호 통한 업무 환경 개선을 위해 고용노동부 주관 ‘플랫폼 종사자 일터개선 지원사업’에도 안전보건공단과 함께 2년 연속 참여했다.
‘플랫폼 종사자 건강보호 지원 사업’은 안전보건공단의 직종별 건강검진 비용 중 20%에 해당하는 자기부담금을 전액 지원해 무상으로 건강검진을 받도록 돕는 제도다. 이를 통해 작년 한 해 1500여명이 건강검진 자기부담금을 지원받았으며, 이는 약 5000만원 규모 혜택에 해당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기존 대리기사에 한정됐던 지원 대상을 지난해부터 퀵·도보배송 기사로 확대했으며, 올해부터는 화물기사까지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실제 지난해 신청 인원이 카카오모빌리티 사업 참여 이전인 지난 2021년도와 비교해 약 30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소중한 파트너들의 건강권 보호 및 처우 개선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다양한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ESG 경영 방안의 일환으로 카카오T 플랫폼의 이용 이력과 관계없이 모빌리티 종사자라면 누구나 개선된 업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지속 고민하겠다”라고 말했다.
SK그룹 최태원 증인 출석 의결…“해지 위약금 면제 확답 받아낼 것”
2025-04-30 16:05:14농협금융, 1분기 순이익 7140억원… 비은행 계열사 부진
2025-04-30 16:01:21이훈기 의원, "SKT 해킹 따른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검토 확답"
2025-04-30 15:55:20'관세 전쟁' 진정세?… 금융당국, 은행권의 RWA 규제 완화 요구 사실상 '거부'
2025-04-30 14:59:55국민은행, 외국인 고객 전용 해외송금 서비스 ‘KB Quick Send’ 출시
2025-04-30 14:5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