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도 ‘총선 모드’…뉴스 서비스, 최수연 대표가 직접 챙기는 이유
[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네이버가 새해 첫 조직 개편을 통해 정책·위기관리(RM) 대표직을 신설하고, 이 자리에 유봉석 전 서비스 운영 총괄 부사장을 선임했다. 이로써 경영 전반을 이끄는 최수연 최고경영자(CEO)를 필두로, 채선주 대외ESG(환경·사회·지배구조)정책 대표와 유봉석 정책·RM 대표가 네이버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이끌게 됐다.
기존 네이버 전체 서비스를 총괄하던 유봉석 부사장이 대표로 승진하면서 뉴스 서비스 조직은 최수연 CEO 직속 조직으로 재편했다. 오는 4월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 대표 포털로서 여론 형성에 큰 영향력을 갖는 뉴스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그에 앞서 지난달인 지난해 12월 외부 전문가 5~7인을 중심으로 구성된 네이버 뉴스서비스 혁신준비포럼(이하 뉴스혁신포럼)의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뉴스혁신포럼은 기존 뉴스서비스를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역할이다. 특히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 구성 및 운영 투명성을 강화해 저널리즘의 가치 제고를 최우선의 목표로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제평위는 국내 양대 포털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뉴스 서비스 운영을 위해 설립한 자율기구다. 뉴스 서비스 입점 언론사를 ▲검색 제휴 ▲뉴스스탠드 제휴 ▲콘텐츠 제휴(CP)로 분류 및 운영해 왔다. 하지만 제평위를 둘러싼 공정성, 평가 기준 모호성 문제가 지속 제기되자 양사는 지난해 5월 제평위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 지난 2016년 제평위를 설립한 지 7년 만이다.
네이버는 뉴스혁신포럼을 통해 알고리즘 공정성 강화, 가짜뉴스 대응 등 뉴스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종합 계획(안)을 마련해 올해 1분기 내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여당인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네이버를 향한 시선은 따갑기만 하다.
작년 12월 국민의힘 미디어커뮤니케이션특별위원회(이하 특위)는 성명서를 내고 뉴스혁신포럼에 대해 “불공정 시비, 책임회피용 논란으로 중단된 제평위의 시즌2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위는 “7개월 동안 무엇을 하다 이제야 혁신을 준비하겠다는 건가”라며 “더 심각한 문제는 결과물이 내년(2024년) 상반기에 나온다는 점이다. 내년 선거 결과를 본 후, 쇄신안 내용과 수위를 결정하겠다는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네이버는 더 이상 외부 위원회 뒤에 숨지 말고, 네이버 스스로가 뉴스서비스의 공정성과 균형성 확보를 책임질 수 있는 방향으로 구체적인 혁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다”라고 촉구했다.
정치권뿐만 아니라 정부 역시 네이버 뉴스 서비스를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현재 방송통신위원회는 네이버를 상대로 뉴스 검색 순위 알고리즘을 의도적으로 조정했다는 의혹에 대한 사실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를 두고 야당에선 법적 근거 없는 조사를 강행한다며 질타한 바 있다.
방통위는 지난해 7월부터 네이버가 언론사 인기도 순위 선정 방식을 바꿔 뉴스 검색 노출에 개입했는지를 두고 실태점검에 나섰다. 이후 같은 해 9월 빠르게 사실조사에 돌입했고, 10월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네이버 사옥에 조사관 10여명을 보내 뉴스 서비스의 전기통신사업법 금지행위 위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현장 조사에 나섰다.
네이버가 많은 서비스 중 뉴스 관련 조직만 떼어내 CEO 직속 조직으로 바꾼 또 다른 이유로는 이러한 정치권 압박이 실제 서비스 운영에 영향을 미친다는 데 있다.
가짜뉴스 등 부정적인 여론 확산 및 조작 우려로 최근 종료된 네이버 서비스만 해도 여럿이다. 네이버는 작년 7월 중 모바일 앱에서 일부 시범 운영해 오던 콘텐츠 추천 서비스 ‘트렌드 토픽’을 정식 출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실시간 검색어(실검)’ 부활이라는 논란이 이어져 도입을 철회했다.
당시 네이버는 트렌드 토픽이 검색뿐만 아니라 각자 관심사를 기반으로 한 개개인 맞춤형 서비스라는 점에서 실검 형태와 다르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았다. 이어 작년 11월엔 ‘뉴스 댓글 내 인용답글(답글의 답글) 작성 기능’을 도입한 지 나흘 만에 해당 서비스를 중단했다.
네이버가 뉴스 댓글에 대댓글만 달 수 있었던 기존과 달리, 특정 답글에 대한 답글도 가능하게 한 것은 이용자 간 소통을 장려하는 의도였다. 하지만 총선을 앞두고 정치 기사에서 ‘댓글 갈등’이 격화할 것이란 우려가 빗발치자 철회하기로 했다. 업계에선 이용자 피드백을 거치며 고도화되는 플랫폼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부 여론에 서비스 생명이 결정되는 데 우려를 표했다.
실제 온라인상에서 이용자가 대댓글에 답글을 다는 형식이 매우 일반적인 커뮤니티 기능 중 하나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같은 해외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만 봐도 답글의 답글을 게재하는 기능이 있다. 네이버가 뉴스 댓글 작성자를 팔로우하거나 차단하는 등 다양한 업데이트를 이어온 것도 플랫폼으로서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하는 차원이었다.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비트코인이 불지른 가상화폐 ‘불장’… 금융당국, '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2024-11-15 16: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