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탐 논란에도...롯데멤버스 "제로칼로리∙무설탕 인기 지속"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암연구소(IARC)가 설탕 대체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군)로 분류한 이후에도 제로칼로리·무설탕 음료가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롯데멤버스(대표 김혜주)가 롯데유통군 통합 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아스파탐이 발암가능물질로 분류되기 전인 7월 2주차(3~9일) 대비 7월 4주차(17~23일) 제로 탄산음료 구매가 9%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파탐 발암 논란이 발생하기 전인 6월 2주차(5~11일)와 비교해도 3% 정도 감소한 수준에 그쳤다. 탄산음료뿐 아니라 전체 음료 카테고리를 넓혀도 7월 2주차 대비 7월 4주차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0%)에는 변동이 없었다.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지정되면서 제로 음료 시장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예상이 비껴간 셈이다. 미국식품의약국(FDA)과 음료협회(ABA)에서 아스파탐 2B군 지정에 대한 반박문을 발표한 점,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아스파탐 현행 사용 기준을 유지하기로 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단 고객군별 수요 회복세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성 고객들은 7월 4주차 제로 탄산음료 구매가 6월 2주차 대비 24%, 7월 2주차 대비 32% 가량 늘어난 반면, 여성 고객들은 같은 기간 각 22%, 10% 가량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7월 4주차 제로 탄산음료 구매가 30대에서는 6월 2주차 대비 약 24%, 7월 2주차 대비 약 32% 증가했다. 20대에서도 7월 2주차 대비 소폭 증가(3%)했다. 반면 50대에선 구매가 같은 기간 각각 21%, 6% 줄며 대조됐다. 40대는 6월 2주차와 비교하면 약 8% 감소했으나, 7월2주차 대비해선 5%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는 음료 1.5배, 주류 1.7배, 과자 2.8배, 커피·차 2.9배, 냉동식품 5.4배, 조리식품 43배, 냉장식품 1.8배 가량 늘었다.
제로칼로리∙무설탕 제품 구매액 규모가 큰 분야는 음료 카테고리다. 올 상반기 기준 전체 음료 카테고리에서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 비중은 약 13%, 탄산음료 카테고리에서는 약 44%에 달했다. 냉동식품이나 면류 등 조리식품 카테고리는 구매액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지난해부터 카테고리 상품 수(SKU)가 증가하면서 구매 증가세가 가파르게 나타났다.
[AI시대, ICT 정책은①] ‘정부주도→민간주도’…“인프라 위한 해외자본 유치 필수” 의견도
2025-04-18 15:28:56다시 뜨거운 감자 '산업은행 부산 이전'… 산은 노조 "이전 공약안한 이재명 지지"
2025-04-18 14:33:25“韓 공공시장, 오픈데이터 확대될 것”…AWS “AI·데이터 변혁’ 최적 파트너”
2025-04-18 14:26:56전동킥보드 이어 공항버스도 정리…티맵모빌리티, 체질개선 속도
2025-04-18 14:12:28신한금융, 올해 사상 첫 '순익 5조 클럽' 유력… 진옥동 회장 의중에 달렸다
2025-04-18 14: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