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자위대, 일론머스크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 채택 검토
[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일본 군대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통신 서비스를 지난 3월부터 시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과 러시아가 위성공격 능력을 강화한 데 따른 대응으로 해석된다. 실제 중국과 러시아는 지상에서 다른 나라 위성 전파를 방해하는 장치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5일(현지시간) 요미우리 신문은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일본 자위대가 스페이스X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 방위성은 지난 3월 스타링크와 계약하고 안테나 등 통신 기자재를 들여왔다. 이후 육해공 자위대 기지와 주둔지 등 10여곳에서 사용하며 운용을 검증 중이다.
일본 방위성은 현재 독자 X밴드 통신위성 2기를 정지궤도에 올려 활용하고 있지만, 저궤도 민간 위성통신 서비스를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방위성은 스타링크 외 다른 기업과도 계약해 통신 성능을 확인 후 내년부터 본격 운용할 방침이다.
한편, 스타링크는 고도 약 550킬로미터(㎞) 저궤도에서 다수 소형 위성을 연동하는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시 통신위성이 공격받아 일부가 파괴되더라도 계속 사용하는 데 큰 지장이 없는 셈이다. 앞서 미국 정부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스타링크가 우크라이나군과 민간에 필요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 바 있다.
사이버아크, 제레미 심 APJ 지역 채널담당 부사장 임명
2025-05-14 09:19:42SKT 해킹 피해…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 신설
2025-05-14 09:16:37[대선 2025] “AI, 진흥과 규제 사이 어딘가”...후보 3인 시각은?
2025-05-14 08:52:38메타넷, 임직원 대상 AI 실전 교육…“고객 현장 중심 실행력 강화”
2025-05-14 08:51:52네이버 웹툰엔터, 1분기 영업적자 387억원…"2분기 글로벌 확장 나설 것"
2025-05-14 07: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