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소재

LG화학, 글로벌 배터리 소재사 도약…”2030년까지 매출 6배 증가”

이건한
각종 전지소재 생산이 이뤄지고 있는 LG화학 오창공장 전경. (사진=LG화학)
각종 전지소재 생산이 이뤄지고 있는 LG화학 오창공장 전경. (사진=LG화학)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LG화학이 2030년 2차전지(배터리) 사업 매출 30조원 달성을 선언했다. 2022년 대비 6배 증가한 규모다. 전지·친환경 소재, 혁신 신약 등 ‘3대 신성장 동력’의 매출 비중도 22년 21%에서 2030년 57%(40조원) 달성을 목표치로 제시했다. 이로써 기존 석유화학 중심의 비즈니스를 ‘톱 글로벌 과학 기업’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신학철 LG화학 부사장은 16일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해외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열린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코리아&글로벌 전기차·2차전지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신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LG화학의 중심축이 3대 신성장동력 비즈니스로 이동하는 근본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전지소재 사업은 연평균 26%의 확고한 성장세 속에 회사의 매출 성장을 견인할 주력 사업으로 탈바꿈한다. LG화학은 전기차용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 사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회사다. 나아가 분리막, 탄소나누튜브(CNT) 등 부가소재 사업을 육성하고 퓨어 실리콘 음극재,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등 신소재 R&D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양극재는 한·중·미·유럽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4각 생산 체계를 갖춰 시장 리더십을 강화한다. 현재 12만톤 규모인 양극재 생산능력(CAPA)는 2028년 47만톤까지 확대한다.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 외에 글로벌 고객사 비중은 40% 수준까지 확대한다.

기술 측면에선 파우치, 원통형 배터리 중심 하이니켈 양극재 제품군에 주력한다. 니켈 비중 95% 수준의 울트라 하이니켈 양산, 단입자 양극재 기술 적용 비중 확대 등이 목표다.

전기차 대중 소비 시장 공략 차원에선 ▲고전압 미드니켈(Mid-Ni) ▲리튬인산철(LFP) ▲망간리치(Mn-Rich) 등 다양한 중저가 양극재 제품군으로의 사업 확대를 적극 검토 중이다.

분리막은 LG화학이 보유한 자체 코팅 기술과 차별화된 원단 기술을 보유한 일본 도레이와 협업한다. 분리막 시장을 한국, 유럽, 미국 시장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CNT, 음극바인더(음극 활물질 안정화 작용), 양극분산제(양극 도전재를 양극재 내에 균일하게 분포 및 분산) 등 전지 부가소재도 고객사와 협업 기회를 발굴해 나간다. LG화학은 코발트(Co)계 촉매를 사용한 독자기술 기반 CNT는 배터리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성이물 함량을 낮춰 세계 정상급의 품질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친환경 소재 중심의 지속가능 비즈니스는 화학은 재활용(Recycle), 생분해·바이오(Bio), 재생에너지 소재 중심으로 사업구조 전환을 가속한다. 관련 매출은 2022년 1조9000억원에서 2030년 8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핵심은 2028년 100조원 규모로 예상되는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 공략이다. LG화학은 색이 바래지는 단점을 극복한 세계 최초의 PCR 화이트 ABS 상업화성공,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화학적 재활용 또헌 물성 변화와 재활용 횟수에 제한이 없어 시장의 성장성이 높다. LG화학은 지난 3월 충남 당진시에 연 2만톤 규모의 국내 최초 초임계 기술을 적용한 열분해유 공장을 착공했다. 독자기술에 기반한 PC 화학적 재활용 실증 플랜트는 2026년에 완공될 예정인 등 화학적 재활용 분야의 경쟁 기반을 다지고 있다.

제약 사업은 FDA 승인 신약 5개를 보유한 매출 2조 규모의 글로벌 혁신 제약사로 도약을 가속할 계획이다. 항암·대사질환 영역에 자원을 집중해 후속 신약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FDA 승인 신약 ‘포티브다(FOTIVDA)’를 보유한 미국 아베오(AVEO)를 인수한 것이 그 발판이다.

탄소절감 경영 측면에서 LG화학은 국내 업계 최초로 재무적 관점의 손익 검토와 투자 우선순위 등 의사결정 지원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탄소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생산량, 에너지 원단위 같은 기초 데이터를 비롯해 신·증설 투자 및 생산계획 등 전반적인 사업계획까지 연계한 탄소 배출 전망치 산출이 가능하다.

나아가 협력사를 대상으로 탄소저감 협업 모델을 구축하고, 직간접 배출(Scope 1&2) 영역에서 기타 간접배출(Scope 3) 영역까지 탄소저감에 대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LG화학은 2019년 국내 업계 최초로 탄소중립 성장을 선언한 바 있다.

이건한
sugyo@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