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디·마세라티도 쓴다"…대주전자재료, '실리콘 음극재' 초격차 시동 [소부장박대리]
- 산화물 방식 상용화…경쟁사 주로 탄소 복합체
- 연내 실리콘 함량 8% 도달할 듯
- 국내외 배터리 제조사들과 논의…현대차 등 탑재 예정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대주전자재료가 핵심 먹거리로 자리 잡은 실리콘 음극재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수요가 급증하는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회사는 10년 넘게 쌓아온 기술력을 내세워 다른 플레이어와 격차를 벌리겠다는 심산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마세라티가 연내 출시할 전기차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에 대주전자재료의 실리콘 음극재가 활용된다. 이미 포르쉐 ‘타이칸’에 이어 아우디 ‘E-트론 GT’에도 투입된 바 있다. 또 다른 공통점으로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한다는 것.
대안으로 실리콘 음극재가 꼽힌다. 흑연은 탄소 원자 6개당 리튬이온 1개가 저장되나 실리콘은 원자 4개당 리튬이온 15개를 저장할 수 있다. 흑연계보다 고용량 및 고출력 배터리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는 의미다. 급속 충전 설계에도 용이하다.
다만 실리콘계는 내구성과 팽창 이슈가 있다. 업계에서는 흑연 음극재에 실리콘 함량을 높여가는 식으로 보완 중이다.
오성민 대주전자재료 부사장은 “Si-C는 사이즈가 커서 전기차에 적용하기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수명과 생산성 등에서 불리한 점도 걸림돌”이라고 설명했다. SiO 입자 크기는 5nm 내외로 Si-C 대비 10배 작다. 쉽게 말해 탁구공과 볼링공 차이 정도다.
[현장] “SKT 유심오픈런, 3~4시간 기다려야”…T월드 홈피도 10만여명 대기줄
2025-04-28 11:17:15딜라이트룸, ICEIC서 호흡 분석 AI 모델 공개…"수면패턴 정밀 분석"
2025-04-28 11:08:03IPX, 美 세 번째 '라인프렌즈 스토어' 오픈…"K-팝 팬덤 어서 와"
2025-04-28 11:07:27SKT 해킹 서버, 국가기반시설 아냐…최민희 "국가관리체계 전면 점검 필요"
2025-04-28 11: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