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장관, "챗GPT는 AI 일상화의 신호탄"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AI 기업·학계 전문가와 간담회를 갖고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챗GPT 동향과 정책 방향 논의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배경훈 LG AI 연구원장, 김지현 SKT 부사장, 성낙호 네이버 클라우드 이사, 전병곤 서울대 교수, 서민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등이 참석했다.
챗GPT는 사람 수준의 언어 능력을 토대로 검색서비스, 시·소설·연설문 작문, 음악 작곡·작사, 소프트웨어 코딩, 논문·특허 분석 등 다양한 분야와 접목돼 인터넷, 스마트폰과 비견할 만한 디지털 혁신을 촉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참석자들은 챗GPT 등 초거대 AI의 글로벌 동향을 공유하고 사회·경제 전반의 파급효과 및 우리기업의 경쟁력을 면밀히 분석했다. 민간 전문가들은 초거대AI 기술·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폭넓은 의견을 제시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핵심으로 자리매김한 AI 승자 독식 특성이 크고 기술 발전의 속도가 매우 빠른 분야여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선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결집해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산업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한 챗GPT 대응 정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23일 2차관 주재의 플랫폼, 통신사, AI 기업 등과 초거대 AI와 AI 일상화 현장 간담회와 3월 AI 최고위 전략대화(3월)를 연이어 개최할 예정이다.
"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비트코인, 시장 변동성 지속… UAE 국부펀드가 비트코인 ETF 매수”
2025-02-23 12:25:07[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