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없으면 안 돼"…포스코, '꿈의 배터리' 핵심되나
- 전고체전지, 8년 뒤 80배 성장…고체 전해질 구현 관건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포스코 그룹이 2차전지를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가운데 차세대 배터리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나가고 있다. 전고체전지가 대상으로 기존 양극재에 이어 음극재, 전해질까지 준비 중이다.
11일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고체전지 시장 규모는 올해 2.1기가와트시(GWh)에서 2025년 30GWh, 2030년 160.1GWh로 커질 전망이다.
전고체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제품이다. 불연성 고체 사용으로 화재 위험이 없고 냉각 장치 등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전지 고용량화, 소형화, 형태 다변화 등이 가능한 것으로 전해진다. ‘꿈의 배터리’라 불리는 이유다.
핵심은 전해질이다. 전해질은 양극과 음극 사이를 오가는 리튬이온을 옮기는 작업을 수행한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쓰는 액체 전해질은 안전 위험이 있다. 온도 변화로 인한 팽창과 외부 충격에 따른 누수 등으로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은 구조상 액체 대비 충격 및 훼손 등에 강하다. 칸막이 역할도 맡을 수 있어 분리막을 최소화 또는 제외할 수도 있다. 배터리 무게가 가벼워지거나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문체부, 글로벌 무대에 'K-안무저작권 안내서' 알린다
2025-04-03 17:15:39[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응급실 온 전통킥보드 사고 환자, 4명 중 3명은 헬멧 안 썼다
2025-04-03 17:13:33AI 기반 사이버공격 심상치 않네…"보이스피싱 442% 증가"
2025-04-03 16:4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