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반도체 세계 대전이 한창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제와 안보 핵심 자산으로 떠오른 영향이다. 반도체 공급난이 장기화하면서 주요국은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고 있다.
국내에서도 새 정부 들어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K-반도체 육성을 위해 탄탄한 생태계 조성이 선제 조건으로 꼽힌다. 그중에서도 반도체 인재 확보가 최우선 과제로 거론된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매년 3000명 내외 인원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체를 포함한 반도체 관련 연간 채용 규모는 1만명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턱없이 모자르다.
최근 반도체 설계 및 후공정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는 중국은 해마다 20만명의 반도체 전공자가 배출된다. 700명에도 못 미치는 한국과 대비된다. 이 가운데 석·박사급 인재는 150여명 수준이다. 절대적인 인구수 차이가 약 30배임을 감안하더라도 큰 격차다.
이에 기업과 학계에서는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또는 인력육성 프로그램 운영 등에 나서고 있으나 실질적인 해결 방안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러한 방안을 이행하더라도 이들을 가르칠 교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말 그대로 계약학과인 만큼 한시적일 가능성이 있고 연구비 지원 등이 제한적이어서 능력 있는 교수를 모시기 어려운 부분도 언급된다.
또 다른 의견은 전문적인 교육이 어려운 학부생보다는 석박사급 인재 확장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이 즉시 투입 가능한 인원을 확보하기 위해 대학과 손잡는 만큼 더 고도화된 교육과 연구 경험을 갖춘 이들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계약학과가 수도권 중심으로 설립되고 있어 지역균형발전에 부정적이라는 점도 제기된다. 반도체 기업이 주로 경기 남부나 지방에 생산거점을 두고 있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지점이다.
지난 15일 교육부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 특별팀’ 첫 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책 마련을 본격화했다. 전문가들 이야기를 종합하면 ▲산업체 전문가 교수 초빙 ▲학사제도 유연화 ▲반도체 장비 등 연구비 지원 확대 등이 골자다.
결국 사람이다. 한국이 지배적인 메모리는 분야에서는 도전을 받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시스템반도체에서는 샌드위치 신세인 만큼 인력풀 확장은 시급한 상황이다. 기존 인원들이 중국 등 해외로 나가지 않도록 적절한 당근을 제시하는 것도 필요충분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