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

“제발 한시적 중단이라도”… 커지는 ‘공매도 금지’ 목소리, IT업계도 주목

박기록
지난 24일 코스피 지수가 52포인트 넘게 급등하며 2366.60으로 마감했고, 이어 미국 증시 역시 3대 주요 지수가 급등으로 마감함에 따라 암울했던 증시 분위기는 다소 호전됐다. 그러나 또 다시 언제 급락할지 모르는 변동성 장세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지는 미지수다.

이런 가운데 지난주 증시 급락이 이어지면서 '공매도 금지'를 요구하는 개인투자자들의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지난 2020년 3월, 당시 문재인 정부는 코스피·코스닥 모든 종목에 대해 공매도를 금지시켰다. 미국 증시가 급락하면서 국내 코스피 지수도 2000~2200선에서 며칠만에 1400대로 추락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시장의 공포를 이용한 외국인들의 대차거래, 즉 공매도가 급증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이후 공포가 다소 진정되고, 글로벌 금융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주가는 급반등했고, 다시 1년만에 코스피 주가는 3200선까지 올랐다. 사실 1400까지 떨어졌던 코스피 지수가 단숨에 3200까지 치솟는 것은 오버슈팅(과열)이라할 수 있다.

이후 정부는 지난해 5월, 코스피200 및 코스닥150 종목에 한해서 '부분적 공매도'를 재개했다. 지나친 증시 과열을 경계하고, 또한 이것이 부동산 시장까지 자극해 자산 버블을 급격하게 일으킬 가능성을 경계한 것이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부분적 공매도가 재개된 이후, 3200~3300까지 치솟았던 코스피지수는 그때부터 우하향하기 시작했고, 1년후 거의 1000포인트까지 급락한 지금 분위기로선 ‘꿈의 지수’가 돼버렸다.

순전히 공매도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다고 보기 어렵지만, 결과적으로 '부분적 공매도'를 재개한 이후로는 국내 증시의 강세가 꺽인 것은 사실이다.

미국 증시의 흐름과 무관하게 지난해 하반기 코스피 지수는 지속적으로 흘러내렸고, 연초 미국의 양적긴축과 러-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주식 급락의 결정타가 됐다.

최근 코스피지수가 2300수준으로 내려앉으면서 다시 온라인을 비롯해 시장 곳곳에선 ‘공매도 금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코스피200지수의 공매도 잔고 물량 비중은 2년전 코로나19 당시 급증했던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공매도의 공격으로 주가가 하락할 위험성이 여전히 높다는 의미다.

20대 대선후보로 출마했던 이재명 의원은 25일 SNS에 글을 올려 “3고(고물가·고환율·고금리) 때문에 먹고사는 민생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며 “한시적 공매도 금지로 개인투자자들이 숨 쉴 공간이라도 열고, 유류세 한시적 중단으로 급한 불끄기부터 해보자”고 제안해 주목을 끌었다.

IT업계도 최근의 주가 급락이 달가울리 없다. 넷마블 등 게임주를 비롯해 최근 일부 IT기업들의 주가가 공매도의 집중공격으로 급락하면서 주가관리에 비상이 커졌다.

특히 올해 IPO(기업공개)를 통해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 성장을 꿈꿔왔던 많은 IT기업들도 IPO 추진 여부를 놓고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당초 올 상반기 상장을 목표로했던 SK쉴더스 등은 결국 IPO를 연기한 상태다. IPO를 준비해왔던 IT기업들도 “어느정도 ‘바닥’을 확인해야 IPO 일정을 다시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다.

물론 현재로선 정부가 ‘한시적 공매도’를 재개한다해도 주가의 반등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을런지는 미지수다.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글로벌 시장 전반에 걸친 매크로측면에서의 악재가 워낙 압도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하다라도 공포가 공포를 부르고, 매물이 매물을 부르는 악순환을 끊기위해서는 그래도 할 수 있는 것은 다하자는 게 개미 투자자들의 요구다.
한편 금융 당국은 오래전부터 우리 증시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해 ‘공매도 금지’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여왔다. 최근 공매도 금지에 대한 개미 투자자들의 목소리가 크게 높아졌지만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박기록
rock@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