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문, 해킹으로 손쉽게 열려”… NCC그룹, '모델Y' 해킹 시연
[디지털데일리 변재영 기자] 테슬라를 포함한 전 세계 수백만개의 디지털 잠금 장치가 블루투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해커들에 의해 원격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또 다시 제기됐다고 17일(현지시간)로이터통신이 전했다.
간단한 블루투스 방식의 해킹을 통해 현재 스마트키로 작동되고 있는 자동차 문을 쉽게 개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로이터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보안관련 회사인 NCC그룹 연구원이 노트북에 부착된 장치를 이용해 2021년형 테슬라 '모델Y'를 열고 운전할 수 있었다.
또한 차량용 잠금 장치 뿐만 아니라 주거용 스마트 잠금 장치도 마찬가지다.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잠금장치도 같은 방식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하다고 NCC그룹측은 밝혔다.
BLE(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이 적용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이러한 취약성은 소프트웨어 패치로 해결할 수 있는 전통적인 버그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특히 'BLE 블루투스' 기반 인증은 자체가 원래부터 '잠금 메커니즘' 목적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도 아니라고 덧붙였다. 즉, BLE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잠금 장치로 활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 취약성을 갖게 된다는 의미다.
NCC그룹 관계자는 "현재 블루투스 연결에 의존하는 모든 기기들이 해커 공격에 매우 취약하며, 특히 보안 문제와 관련했을때의 위험성을 보여준다"고 경고했다.
"저커버그 1조원어치 팔았다"…美 CEO들, 1분기 자사주 대규모 매도
2025-04-21 18:06:55“K-미디어, 아직 글로벌 주류 아냐”...‘제2폭싹·오겜’ 계속 나오려면?
2025-04-21 18:05:56"가상자산 관련 임직원 사고예방" 등… 농협중앙회, 윤리경영위원회 개최
2025-04-21 17:46:00핑거, 세무대리인 플랫폼 '컴패스' 출시… "수임처 관리부터 업무자동화까지 한번에"
2025-04-21 17:28:45[DD퇴근길] "책임론 정면 돌파"…통신업계, 'AI 보이스피싱 탐지' 집중
2025-04-21 17: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