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삼성전자는?
- 삼성전자 예상치 2억8400만대…폴더블폰 1200~1300만대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올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연초 예상치보다 줄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로 전체적인 수요가 하락했다. 반도체 및 부품 공급난 등 악재가 겹쳤다. 그렇지만 내년에는 수요와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올해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21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2년 스마트폰 전망치를 공개했다.
◆2021년 13억9200만대, 당초 예상치보다 하락…내년 반등=올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연초 전망치인 14억8000만대보다 위축된 13억9200만대로 전망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코로나19 영향 ▲경기 침체로 인한 정보기술(IT) 기기 수요 둔화 ▲부품 공급난 심화 등으로 성장세가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내년 전망치는 14억9200만대다. 전년대비 7.2%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 이전 수준인 2019년 14억7900만대보다 높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1분기까지는 반도체 및 부품 부족 영향을 받지만 2분기부터는 해소될 것으로 봤다.
분기별 전망치는 ▲1분기 3억3800만대 ▲2분기 3억5100만대 ▲3분기 3억8600만대 ▲4분기 4억1700만대다. 하반기에 판매가 늘어나는 '상고하저'가 뚜렷하다.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 예상치는 8억700만대다. 전체 스마트폰 판매의 54%에 달한다. 인도의 경우 2022년 상반기 주파수 경매 이후 2022년 말 5G가 상용화된다. 이로 인한 수요가 폭발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삼성전자 2억8400만대, 폴더블폰 비중은 4~5%=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의 예상 실적을 2억8400만대로 책정했다. 삼성전자가 목표한 3억2000만대보다 3600만대 가량 낮다. 올해 인도와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주요 시장에서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가 약진하는 등 경쟁이 심화하며 점유율이 일부 하락했다. 이런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네카오는 지금] 1분기 엇갈린 성적표…AI 전략으로 반전 노린다
2025-05-11 15:07:16“해외서도 응급의료 상담 가능”…LGU+, 소방청과 '안전·연결' 캠페인 진행
2025-05-11 12:00:00[인터뷰] 의사 가운 벗고 AI 입다…실리콘밸리 홀린 ‘피클’
2025-05-11 11:55:43[OTT레이더] 강하늘X고민시의 쓰리스타 로맨스, 넷플릭스 '당신의 맛'
2025-05-11 11:54:28SKT 유심 교체 고객 143만명…6월 말까지 1077만장 유심 확보
2025-05-11 11:5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