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삼성美투자확정②] TSMC·인텔 이어 삼성 첨단 팹 유치…美 반도체 주도권 강화

윤상호
- 삼성전자 테일러 팹, 2022년 착공 2024년 가동
- 美 설계 기술부터 생산까지 반도체 생태계 완성


[디지털데일리 윤상호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공장(팹) 신설 부지를 텍사스주 테일러시로 확정했다. 2022년 상반기 착공 2024년 하반기 가동 예정이다. 총 170억달러(약 20조2100억원)를 투자한다. 이에 따라 미국은 파운드리 점유율 1위와 2위 그리고 4위 팹을 유치하게 됐다. 파운드리 진출을 선언한 인텔까지 감안하면 시스템반도체 설계(팹리스)와 생산 생태계를 모두 갖추게 됐다.

24일 삼성전자는 미국 제2 파운드리 부지를 텍사스주 테일러시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세계 파운드리 1위 TSMC는 삼성전자에 앞서 애리조나주에 파운드리 팹 첫 삽을 떴다. 2024년 완공 예정이다. 총 120억달러(약 14조2700억원)을 투자했다. 중앙처리장치(CPU) 1위 종합반도체기업(IDM) 인텔은 새 성장동력으로 파운드리를 찍었다. 역시 애리조나주에 200억달러(약 23조7900억원)을 투입한다.

이전까지 미국 파운드리는 삼성전자 오스틴 팹과 세계 파운드리 4위 글로벌파운드리 팹이 있었다. 다만 첨단 반도체를 생산하기엔 공정 등이 뒤쳐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삼성전자 테일러 팹 TSMC와 인텔 애리조나 팹은 극자외선(EUV) 장비를 사용하는 7나노미터(nm) 이하 최신 시스템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이다.

미국은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직후부터 반도체 생태계 재건을 추진했다. 삼성전자를 비롯 다양한 반도체 제조사 투자를 압박했다. 특히 이달 초에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 원인을 조사한다며 세계 반도체 업계 영업 정보 등을 요구해 파문이 일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5월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미국 파운드리 신설을 약속했다. 삼성전자는 세계 파운드리 2위다. 테일러시는 삼성전자 유치를 위해 10년 동안 세금 감면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안했다.

또 미국 정부는 신설 반도체 팹에 보조금을 주는 법안을 준비 중이다. 보조금 지급 대상은 논란이 있었다. 인텔 등은 미국 기업만 대상으로 해야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투자 확정은 미국 정부가 해외 기업도 보조금을 주기로 약속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편 미국 반도체 패권은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첨단 파운드리 팹 유치는 생산 관련 생태계 전반을 미국에 구축한다는 뜻이다.

미국은 이미 반도체 생산 설계 기술과 주요 팹리스를 보유했다. 미국은 미국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장비 등을 통제해 중국 반도체 자립을 막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팹리스 매출액 상위 업체 대부분은 미국 업체다. 2020년 기준 매출액 10억달러 이상을 달성한 팹리스는 ▲퀄컴 ▲엔비디아 ▲브로드컴 ▲미디어텍 ▲AMD 5곳이다. 미디어텍외 4곳은 미국 기업이다.
윤상호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