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의 인터넷 인프라 투자 노력…왜?
지난 달,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한 다수 외신은 페이스북이 ▲자회사 인스타그램이 청소년 정신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모르는 체하고 ▲"모두에게 똑같은 정책을 적용한다"는 말과 다르게 유명인 계정을 특별 관리하며 ▲백신 거부 현상이 자사 서비스를 통해 퍼져나가는 것을 알면서도 방치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 4일(현지시간)에는 서버가 다운되는 '먹통 사태'까지 터져 전 세계에서 페이스북에 대한 원성이 빗발쳤다. 앞서 2008년 및 2019년에도 먹통 사태가 터진 적이 있지만, 이번 서버 장애는 그중에서도 최악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사용자 수가 훨씬 늘어났으며, 기업이 도덕성 논란에 휩싸여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페이스북 전 프로덕트 매니저였던 프란시스 하우겐은 페이스북을 "가짜 뉴스 등으로 이용자가 입는 피해에 대한 고려 없이 사익 추구에만 급급하다"고 폭로했다. 폭로에 먹통 사태까지 겹친 4일(현지시간) 당시 페이스북 주가는 5% 가까이 급락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페이스북은 지난 6일 미디어 세션을 열어 인터넷 접근성 확대를 위한 기술을 발표했다. 많은 사람이 더 빠르고 쉽고 저렴하게 인터넷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요점이다. '인터넷 환경에 투자하는 기업'임을 강조해 부정적 여론을 잠재우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광고료를 받아 수익을 올린다. 페이스북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절반이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을 인터넷 세계로 끌어온다면 수익도 자연스레 증대된다. 인프라 투자로 사회에 환원하는 기업이란 이미지에 더해 수익 확대까지 노릴 수 있다. 페이스북의 이번 행보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를 마련한 것이라는 분석이 곳곳에서 나오는 이유다.
'온라인 대출 비교·추천' 알고리즘 문제점 노출… 금감원 "소비자 선택권 침해시 엄정 대응" 경고
2025-05-11 20:20:12카드론·캐피탈·대부업체 비대면 대출도 '이용자 본인확인조치' 의무화
2025-05-11 19:41:14[네카오는 지금] 1분기 엇갈린 성적표…AI 전략으로 반전 노린다
2025-05-11 15:07:16“해외서도 응급의료 상담 가능”…LGU+, 소방청과 '안전·연결' 캠페인 진행
2025-05-11 12:00:00[인터뷰] 의사 가운 벗고 AI 입다…실리콘밸리 홀린 ‘피클’
2025-05-11 11:5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