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디지털 오디세이 / 병원, ‘스마트’해지다 ⑤] 의료 데이터 누적, 당장 누구에게 좋을까

강민혜

(표=한국보건의료정보원)
(표=한국보건의료정보원)

[디지털데일리 강민혜 기자] 스마트 병원으로의 전환서 의료계가 주목하는 건 데이터다. 데이터를 쌓아 이를 기반으로 환자별 맞춤 정밀의료를 실현하겠다는 속내다. 다만 장기 계획에 불과해 빠른 시일내 환자를 위한 데이터 활용 현실화는 요원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의료계가 스마트 병원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면서 가동한 병원정보시스템 등의 기본적인 구조 외, 소프트웨어 기업이나 인공지능 대학원 등 외부 의료 인프라망을 확대하면서 데이터 누적에 힘쏟는 건 결국 의료 데이터 누적을 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기술적 측면의 스마트병원 이외에도 데이터중심병원을 구축해 이들간의 교류를 지원하려는 목적을 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을 지난해에 이어 또 모집하면서, 전산장비 도입 보강을 통한 안전한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환경 구축, 데이터 보안·표준화·정제 등을 통한 표준보급 확산, 활용 기반 마련, 주요 질병 관련 데이터 특화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고려대학교의료원·한림대학교성심병원·부산대학교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학교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 등이 컨소시엄을 이뤄 오는 12월까지 관련 사업에 참여한다.

(사진=한국보건의료원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사진=한국보건의료원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고려대학교의료원은 네이버클라우드 등과 손을 잡았고 삼성서울병원은 삼성SDS·GE헬스케어·한미약품·JW중외제약·제약바이오협회 등과 협력한다. 세브란스병원은 연세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태영소프트 등과 협력한다. 상급병원과 대학·제약·소프트웨어 기업·연구소 등 데이터중심병원을 만들기 위한 의료혁신 인프라망이 확대되는 셈이다.

보건복지부는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기업·제약사 등 산업계와 병원 간의 데이터 연구 활용을 지원해 다기관 공동 연구 등을 돕겠다고 사업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현행법으로는 어려운 기관 간 환자 데이터 교류를 정부 차원서 규제를 일부 완화해 가명·익명 정보 등 다른 형태로 공유하도록 돕겠다는 속내다.

장점으로는 데이터 관리 측면서 각 병원간 중구난방인 기준을 통일하고 공동연구, 빅데이터 지원, 분석 포털 등을 고도화해 제공하는 걸 목표로 삼는다는 것이 있다. 다만 당장은 환자에게 도움되기 어렵다. 의료 데이터 연구 결과가 누적돼 향후 미래 환자를 위한 기술 발전에 도움될 것이란 장기적 전망의 선순환을 꿈꾸는 데 현재까진 그친다.

실제 보건복지부의 사업 설명에 따르면, 이는 당장 환자에게 돌아가는 선순환보다는 의료계 종사자들의 연구 데이터 확보가 우선인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데이터중심병원을 통해 감염정보·익명성을 토대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사업의 주목적이다. 병원 내 누적된 오래된 환자 데이터 등을 모아 적법한 절차로 안전하게 연구할 수 있게 정부가 보조하겠다는 설명이다. 다기관 연구시 병원간 감염정보 등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정부 주도로 만드는 게 목표다.

(사진=한국보건의료원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사진=한국보건의료원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당장은 환자의 편의성보다는 의료계·산업계의 연구 결과들이 의료 혁신 기기로 상품화돼 성과로 나오도록 돕는다. 장기적으로는 데이터중심병원이 연구중심병원이 돼 산업화를 이루고 환자에게 영향을 주는 선순환을 꾀한다는 목표를 꾸렸다.

또한, 일선 병원들이 이미 각자 연구를 하고 있어 데이터를 자료화하고 시스템적으로 내부서 관리하도록 인프라를 갖춰주는 역할 등을 정부가 맡아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해주려는 속내다. 제도권 내에서 정당하게 데이터를 교환하고 연구하라는 지도체계를 만드는 셈이다.

(사진=한국보건의료정보원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사진=한국보건의료정보원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심의위원회 등을 만들어 개인정보 기반이 아닌 가명·익명화된 데이터를 활용하는지 확인하는 방침 등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디지털 환경 변화로 인한 스마트 병원 확산에 따르는 현실의 제도적 제약을 풀어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의료 혁신은 결국 국가 제도 혁신”이라며 “병원,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교류를 통해 새 의료 기술 인프라를 만들고 이를 도입할 수 있도록 만들 공공 부문의 다양한 제도들에도 혁신이 필요하다. 정부의 육성 지원 사업이나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규제 개선 등은 이 맥락에서 읽힌다”고 전했다.

강민혜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