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

접고 돌리고 당기고…스마트폰 제조사 폼팩터 경쟁, 왜?

윤상호
- 정체한 프리미엄폰 교체수요 창출 수단…다양한 폼팩터 공존 전망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지난 10여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던 휴대폰 하드웨어 형태(폼팩터)가 변곡점을 맞았다. 작년 접는(폴더블)폰에 이어 올해 돌리는(스위블)폰이 등장했다. 돌돌마는(롤러블)폰도 등장을 예고했다. 주류 제품이 바뀔지 관심이 모아진다.

현재 주류 스마트폰은 막대(bar, 바)형 터치스크린 디자인이다. 2007년 애플 ‘아이폰’ 이후 스마트폰 표준이 됐다. 물리 키패드는 사라졌다. 림(RIM)의 ‘블랙베리’ 삼성전자 ‘블랙잭’ 등은 경쟁에서 쇠퇴했다. ‘입력’보다는 ‘출력’이 소비자를 사로잡았기 때문이다. 검색어를 입력하기 편한 것보다 검색결과를 편하게 보기를 원했다.

바형 터치스크린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 혁신과 함께했다. 액정표시장치(LCD)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대로 전환했다. 화면은 커졌지만 제품은 커지지 않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발전했다. 홈버튼과 지문인식이 화면에서 가능해졌다. 카메라와 스피커 노출부도 화면으로 채우기 위한 기술이 등장했다. 터치스크린을 디스플레이에 통합해 두께를 줄였다.

새로운 폼팩터의 등장도 출발점은 디스플레이다. 바형 디자인 테두리 최소화(베젤리스)로 화면을 키우는 것은 한계에 다다랐다. 최근 스마트폰 화면 크기가 6인치대에 머무르는 이유다. 7인치대는 태블릿의 영역이다. 2010년 삼성전자가 처음 선보인 태블릿 ‘갤럭시탭’ 화면 크기가 7인치였다.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한 손으로 통화를 하기엔 부담스럽다. 더 이상 휴대폰이 아니다.

폴더블폰 스위블폰 롤러블폰은 화면은 키우고 휴대성은 유지하려는 고민의 산물이다.

폴더블폰은 2개 방향으로 진화 중이다. 첫번째는 태블릿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 시리즈’와 화웨이 ‘메이트X 시리즈’가 대표다. 접었을 때는 일반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이 된다.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확보하지 못한 쪽은 화면을 2개 배치했다. LG전자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선택했다. 두번째는 휴대성을 높인 제품이다.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과 모토로라 ‘레이저’가 그렇다. 접으면 바지 주머니에 들어가고 펼치면 6인치대 스마트폰이 된다.

스위블폰은 LG전자가 제안했다. 오는 10월 출시한다. ‘윙’은 돌리면 나오는 보조화면을 갖췄다. 보조화면은 콘텐츠를 즐길 때 방해하는 다른 일을 하는 용도다. 손잡이 등 사용자경험(UX) 확장 역할도 한다. 롤러블폰은 아직 제안 단계다. 지향점은 태블릿이다. 일반 스마트폰으로 쓰다가 큰 화면이 필요할 때는 숨겨진 화면을 빼내는 형태다. 내구성 확보가 숙제다. LG전자와 TCL 등이 컨셉을 공개했다.

스마트폰 폼팩터 변경은 스마트폰 제조 생태계 수익성 확대와 물려있다.

바형 디자인 정체는 스마트폰 교체주기 지연으로 이어졌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수년간 제자리 걸음했다. 특히 프리미엄폰 판매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2017년 15억800만대를 정점으로 하락세다. 2018년 14억3160만대 2019년 14억1260만대로 떨어졌다. 5세대(5G) 이동통신을 기대했지만 각국 통신사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올해는 코로나19 탓에 낙폭은 더 커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은 통신 세대 전환과 일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변화 등 할 수 있는 것이 늘어나 수요를 견인했지만 5G부터는 아직 뚜렷한 길이 보이지 않는 상태”라며 “폼팩터 변화는 새로운 유행을 통해 정체한 교체수요를 살리려는 시도”라고 평가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일반폰 때도 바형 휴대폰은 사라지지 않았다”라며 “바형 스마트폰이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프리미엄 시장은 2000년대처럼 상당기간 다양한 폼팩터가 경쟁하는 춘추전국시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윤상호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