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도현기자] 미국의 화웨이 제재가 시작됐다. 15일부로 화웨이는 미국 소프트웨어와 기술을 이용해 개발‧생산한 반도체를 사용할 수 없다. 반도체 제조사가 화웨이와 거래하려면 미국 정부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를 비롯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부품사 등이 직간접적인 영향권에 들었다.
관련 업계는 “단기적 손실은 불가피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영향이 없다”고 입을 모은다. 애초에 화웨이 물량이 많지 않고, 중국 샤오미·오포·비보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오히려 화웨이 의존도가 높았던 BOE 등을 밀어낼 기회라는 의견도 있다.
긍정적인 시각도 좋지만, 기업들은 항상 최악의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한다. 샤오미 등을 화웨이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협력사를 그대로 가져간다는 보장은 없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 정부 차원에서 자체 공급망을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가령 10개 공급하던 부품을 중국에서 1~2개만 맡아도 매출의 10~20%가 날아가게 된다.
11월 미국 대선 등이 화웨이 제재의 변수지만,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제2의 화웨이가 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위기와 불안감은 반복된다.
대외 이슈로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는 ‘대체 불가’로 거듭나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리스크가 적다. 양사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1~2위 업체로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차세대 제품에서도 한발 앞서있다. 두 회사가 없으면 고품질 메모리를 구할 수 있는 경로가 제한적이다.
다른 분야에서도 동일 전략이 요구된다. 이 회사가 아니면, 만족할만한 제품을 구할 수 없는 기술력을 갖춰야 한다. 전자업계 시장 분위기가 불확실해지고, 보호무역주의가 팽배하는 상황에서 생존 방식은 ‘자력갱생’뿐이다. 화웨이 불똥을 피하기 위한 제품 경쟁력 및 새로운 공급처를 확보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