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버전스

‘K-OTT’로 넷플릭스·디즈니 맞선다…콘텐츠협력·규제완화 도마 위

권하영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과 국내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들이 K-OTT 경쟁력을 위한 ‘콘텐츠 협력모델’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향후 방송통신위원회는 사업자들과 OTT 협의체를 구성, 정기적인 회동을 가질 예정이다. 토종 OTT간 콘텐츠 협력 전초기지가 될지 주목된다.

18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에서 국내 OTT 사업자들과 만나 간담회를 열고 업계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태현 웨이브 대표, 양지을 티빙 대표(부사장), 김훈배 KT 신사업본부장(시즌), 박태훈 왓차 대표가 참석했다.

한 위원장과 사업자들은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공룡들에 맞서 토종 OTT의 콘텐츠 경쟁력을 길러야 한다는 데 공감을 이뤘다는 전언이다. 특히 한 위원장은 글로벌 OTT 진출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사업자간 협력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는 물론 연내 디즈니플러스의 한국 진출 가능성도 떠오르는 만큼, 국내 콘텐츠 제작 역량과 IT 기술 역량을 모아 해외 진출을 타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사업자들은 시장 필요에 의해 민간 자율적으로 콘텐츠 협력이 진행돼야 하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글로벌 OTT 대비 콘텐츠 제작 자본력이 부족한 국내 OTT 시장의 경우 플랫폼 간 합병 필요성까지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JTBC와 합병법인 출범을 준비하고 있는 티빙의 경우 선을 긋긴 했지만, SK텔레콤은 토종 OTT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웨이브와 티빙의 합병이 필요하다며 러브콜을 보내기도 했다.

사업자들은 OTT 생태계 활력을 위해 속도감 있는 규제완화 추진도 요청했다. 콘텐츠 제작지원은 물론, 시의성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정부 심의 심사를 신속히 진행해달라는 지적이다. OTT 사업자들은 간담회에 앞서 OTT 펀드조성 등 콘텐츠에 관한 직접적인 제작지원 방식을 개선하고, 제작비 세제지원 등 간접지원을 확대해달라는 건의사항을 보낸 바 있다.

시즌을 운영하는 KT의 김훈배 신사업본부장의 경우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경쟁만큼이나 협력도 중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KT 측은 “이미 넷플릭스는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이자 대세인 만큼 외산 OTT라고 해서 무조건 배척하기 보다는 같이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자는 입장”이라며 “OTT든 IPTV든 투트랙 플랫폼으로 경쟁력을 키우고 합병보다는 협력 제휴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논의를 거쳐 방통위는 간담회를 기점으로 ‘국내 OTT 활성화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기적인 회동을 갖기로 했다. 협의체를 통해 콘텐츠·플랫폼·시민단체·학계의 폭넓은 의견을 수렴한다는 구상이다.

반상권 방통위 방송기반총괄과장은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웨이브·티빙·시즌·왓챠 4개 사업자의 실무진들과 방통위가 앞으로 협의체를 통해 주기적으로 만나 업계 애로사항과 발전방안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기로 했다”면서 “진행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시민단체나 전문가들의 의견도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근 OTT 업계가 음악·영화 저작권과 관련해 문화계와 충돌을 빚고 있는 부분도 협의체에서 주요하게 다뤄질 예정이다. OTT 업계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음저협) 및 영화수입배급사협회 등과 저작권 문제로 갈등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소관부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및 방통위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로 나눠진 탓에 정책 협력이 더디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방통위가 금주 내로 신설할 예정인 ‘OTT정책협력팀’(가칭)도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방통위 관계자는 “OTT 업무만 전담하는 총괄팀으로, 조만간 내부 팀원을 조정해 인사발령을 낼 것”이라며 “협의체와 함께 정책협력팀을 가동해 공식적으로 사업자 의견을 담고, 이를 바탕으로 저작권 분쟁 이슈 등과 관련해 협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하영 기자>kwonhy@ddaily.co.kr
권하영
kwonhy@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