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분석] 토스의 인터넷은행‧PG 투트랙 전략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간편송금 앱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대표 이승건)가 15일 제3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신청했다. 14일에는 국내 전자결제 분야 점유율 2위인 LG유플러스 전자결제(PG)사업부 인수 우선협상자가 됐다.

인터넷전문은행 인가 획득에 성공한다는 가정 아래 올 하반기 본격화되는 오픈뱅킹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 셈이다.

당초 비바리퍼블리카의 LG유플러스 PG사업부 인수로 인해 인터넷전문은행에 재도전 할지 여부에 대해 시장은 관심을 가졌다. 결국 인터넷은행과 PG사업 모두를 가져가기로 한 것에 대해 업계에서는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의 관계처럼 토스 역시 인터넷전문은행과 PG를 따로 운영하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 PG업계 관계자는 “카카오톡이라는 플랫폼 아래서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가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둘은 다른 회사”라며 “인증 등에서도 서로 공통분모가 없이 다른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바리퍼블리카가 LG유플러스의 PG사업부 인수를 진행하게 되면 자체 온라인 결제망을 갖추게 된다. 특히 현재 토스가 통합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과정에서 핵심 콘텐츠였던 송금 플랫폼을 벗어나 직접적인 결제사업까지 가능해진다. 인터넷전문은행 인가까지 획득하면 은행과 PG사업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은행도 PG사업을 위해선 라이선스를 받아야 한다.

무엇보다 100% 계좌이체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가져가던 토스가 이제 신용카드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는 점이 중요하다. 업계 1위인 이니시스를 토스가 제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이번 LG유플러스 PG사업부문 인수는 토스의 B2C 위주의 사업구조가 B2B 시장으로 전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토스는 이미 B2B 사업을 전개하고 있지만 그 강도가 더욱 유기적으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 PG사 관계자는 “토스는 B2B 기반의 경제사업을 이미 하고 있었다. B2B 사업에 대한 사업적 이질감은 없을 것이다. 다만 신용카드 업에 대한 이해도가 얼마가 될지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PG사는 기본적으로 온라인 지불 및 결제대행 업체로 분류되지만 온라인 상에 여러 가맹점을 모집하고 있는 가맹점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다. 당장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기 위해선 홈페이지나 상거래 페이지에 결제 모듈을 삽입해 결제가 가능하게 해야 하는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PG사다.

또 그동안의 LG유플러스의 사업 방향이 B2B는 물론 오프라인 시장에 특화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비대면채널을 주력으로 해 온 토스에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PG사업을 전개하면서 통신망과 결합상품으로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중소상공인 들을 대상으로 제공해왔는데 이러한 독특한 사업구조가 흡수한 시장 특성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물론 일각에선 B2B 시장에서의 파급력이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소형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 시스템 공급 비즈니스가 있기는 한데, 수익성 관점에서 매력이 있는지는 모르겠다”며 “사용자를 많이 확보한 토스가 하면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네이버나 카카오 대비 차별성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해서 어떤 전략을 보여주느냐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빅데이터 및 오픈뱅킹 시장에 있어 토스의 대응력을 강화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특히 최근 ‘네이버 페이(Naver Pay)’가 시작한 주문 프로세스 결합 PG 모델이 보편화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PG사가 결제만 중계해주는 것이 아니라 상품정보와 빅데이터를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찾고 있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PG사가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는 결제가 이뤄진 상점과 결제금액, 그리고 어떤 결제수단이 쓰였는지 여부다. 특히 그동안 상품과 결제금액을 연결시키려는 시도가 국내 PG사에 없었는데 네이버페이를 시작으로 이러한 움직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물론 PG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향후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 파급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토스가 PG의 가맹점과 서비스를 어떻게 연결하고 확대해 나가느냐도 숙제로 대두되고 있다. PG 서비스가 대형화되어야 카드사를 대상으로 한 결제 수수료 절감 협상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