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2017결산/엔터프라이즈솔루션] 일상이 된 클라우드…공공SW 혁신 시동거는 정부

백지영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안 써 본 업체는 있어도 한 번만 쓴 업체는 없다는 우스개 소리가 있을 정도로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제 국내 기업 IT환경에서도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올해는 지난 2015년 클라우드 발전법이 시행된지 3년차에 접어들면서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이 본격화된 해였다. 조달청 나라장터에 클라우드 서비스 구매를 위한 카테고리가 마련됐다.

또, 지난해 KT에 이어 올해는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가비아, NHN엔터테인먼트 등이 국내 기업들이 클라우드 보안인증(IaaS)을 획득하면서 공공 시장 공략에 나섰다. 클라우드 보안인증은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가 공공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제도다.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받으며 지난 4월 클라우드 시장 진출을 선언한 NBP의 경우, 2년 내 ‘톱5 기술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네이버(포털)와 라인(메신저) 등에 적용된 기술을 클라우드 서비스에 녹여 해외기업의 공세에 대응하겠다는 야심을 내비췄다.

현재 국내을 비롯한 전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올해 삼성SDS, LG CNS, SK C&C와 같은 주요 대기업 계열 IT서비스업체들이 이들 기업과 대거 협력을 발표하며, 클라우드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더불어 해외 기업에 대한 종속 우려를 낳기도 했다.

이같은 IT서비스업체의 변화에 따라 국내 소프트웨어(SW) 업계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제춤 출시와 해외진출 등에 무게 중심을 두고 변신을 꾀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SaaS 제품에도 클라우드 보안인증제가 도입될 예정이다.

유영민 과기부 장관
유영민 과기부 장관

클라우드 이외에도 머신러닝, 딥러닝 등을 주축으로 하는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같은 기술이 접목되기 시작했다. 챗봇과 같이 자연어처리에 기반한 서비스가 금융, 항공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출시됐다. ‘왓슨 포 온콜로지’와 같은 IBM의 AI 서비스는 가천대 길병원, 부산대병원 등 7개의 병원에서 도입되기도 했다. 이는 암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최적의 진료법을 제안해 주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다.

한편 문재인 정부 탄생과 함께 새롭게 출범한 과학기술정보과학부는 개발자 출신의 유영민 장관을 맞으며 그동안 지속적으로 문제가 돼 왔던 공공부문의 SW 적폐 해소에 나서고 있다. 유 장관은 취임 이후부터 ‘SW 아직도 왜’와 같은 TF를 구성하며 업계의 의견을 취합했으며, 최근 5대 혁신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이에 따라 기존 ‘SW산업진흥법’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과기부는 SW산업진흥법의 전면개정(안)을 마련하고 SW산업 육성과 SW 융합·교육 확산 등 관련 내용을 추가하는 한편 ‘아직도 왜’ TF에서 도출된 의견을 관련 법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SW 영향평가와 분할발주 법제화, 과업변경 시 적정대가 지급, 원격지개발 활성화 등이다. SW 사업 발주제도 혁신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 내년과 내후년에 걸쳐 개선작업이 있을 전망이다.

2019년 목표로 상장을 추진하는 티맥스소프트 본사 전경
2019년 목표로 상장을 추진하는 티맥스소프트 본사 전경

매출 1000억원대를 넘는 국내 SW업체도 속속 등장한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지난해 한글과컴퓨터에 이어 올해에는 티맥스소프트가 1000억원 이상 매출을 무난히 달성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순수 SW업체 가운데 매출이 1000억원 이상인 곳은 한컴과 더존비즈온, 한컴MDS 등에 불과하다.

티맥스는 2016년 1000억원에서 7억원이 모자란 993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바 있다. 티맥스소프트는 최근 상장 계획도 밝혔다. 예정대로라면 2019년 상반기 상장한다. 내년부터 의무화되는 초·중등학교의 SW 교육도 관심이다. 발표 직후부터 사교육이 성행하며 우려를 낳고 있다.

하드웨어(HW) 업계는 소프트웨어 정의(SDx)와 SSD, NVMe와 같은 올플래시 기술로 재편됐으며, AI을 장애예측 등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됐던 국산 서버 및 스토리지 업계의 경우, 공공기관 구매가 늘면서 시장 점유율이 각각 2015년 0.4%에서 5.1%, 1%에서 3.8%로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2019년부터 2019년까지 중기 간 경쟁제품 지정 재추진을 추진한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