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호’ 클라우드 보안인증 업체는 NHN엔터…공공 클라우드 시장 가세
클라우드 보안인증은 지난해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부)에서 발표한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정보보호에 관한 기준 고시’ 요건 충족 여부를 평가하는 제도다. 현재 국내 공공기관에 민간기업이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NHN엔터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심사‧평가를 거쳐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보안인증을 부여받았다. 이 회사는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토스트 클라우드)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공기관 전용 서비스인 ‘G-토스트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한편 클라우드 보안인증은 지난해부터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사업자(IaaS)를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 현재 14개 분야 117개 항목에 대한 관리적‧물리적‧기술적 보호조치 이행 점검을 통해 인증을 수여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KT가 첫 번째로 인증을 받았으며, 올 2월 NBP, 5월에는 가비아가 인증을 획득했다. KISA는 내년부터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사업자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확대할 계획이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해킹 피해 전부 보상”...과기정통부, SKT와 고객 피해 방지대책 협의
2025-04-27 19:37:29SKT “해킹피해 발생시 100%책임…유심보호서비스 믿어달라”
2025-04-27 19:30:40[대선 2025] 이재명, 대선후보로 선출…“AI 중심 시대·진짜 대한민국 시작”
2025-04-27 18:49:04'유심보호서비스'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등장…정부, 2차피해 주의 권고
2025-04-27 17:35:21주말동안 ‘쑥’ 빠진 SKT 가입자…경쟁사 마케팅에 ‘진땀’
2025-04-27 16:5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