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대기업 굴레’ 벗었다…공격적 M&A 나설까
물론 카카오가 대기업 규제에서 벗어났다고 당장 외부로 드러나는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우선적으로 카카오의 인수합병(M&A) 행보에 걸림돌이 없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스타트업 계열사들도 벤처캐피탈 등에서 추가 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카카오는 자회사 케이벤처그룹을 통해서 스타트업에 활발하게 투자하는 중이다.
이와 관련해 홍은택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지난 4월 전경련 컨퍼런스에서 “카카오 계열사로 편입되는 회사는 아무리 작은 기업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규제를 받게 되기 때문에 유망 IT 스타트업 인수합병도 차질을 빚을 것”이라고 규제 우려를 하소연한 바 있다.
카카오 측은 “대기업 집단 지정된 이후 두 달 사이에 큰 변화나 영향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면서도 “그간 의사결정 과정에서 규제에 걸리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고 또 해도 되는지 고민했던 부분이 없어졌다”고 말했다. 또 회사 측은 “IT 업계가 빠르게 돌아가는데 그에 맞춰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카카오는 얼마 전 선보인 대리운전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에 이어 미용실 예약 서비스 ‘카카오헤어샵’ 출시도 앞뒀다. 올 하반기 중엔 홈클린, 주차 등 여러 분야로 O2O 시장 진출을 계획 중이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KT, 업무시스템 전면 전환…'카이로스X' 프로젝트 돌입
2025-04-20 21:50:10[AI시대, ICT 정책은③] 콘텐츠산업 육성 예산, 전체의 0.14%…"국가 전략 산업으로 키워야"
2025-04-20 16:43:07[툰설툰설] 연애 세포 살리는 로맨스…'입맞추는 사이' vs ‘내일도 출근!’
2025-04-20 14:41:20日 택시단체 "호출서비스 인상적"…카카오모빌리티와 DX 협력 모색
2025-04-20 13:47:00[IT클로즈업] 관세 태풍 속 韓CSAP…“망분리는 낡은 기술” 말한 AWS 속내
2025-04-20 10:4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