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부분 SW·ICT장비 사업, 첫 4조 규모 돌파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21일(월)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 설명회’를 개최하고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2016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사업규모는 4조64억원으로, 전년대비 5.1%(1939억원) 증가했다.
사업당 평균예산은 2015년 2.4억원에서, 2016년 2.6억원으로 소폭 증가되었으며, 이는 일부 기관의 대형사업 발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SW구축 예산은 2조7241억원(전년대비 45억원, 0.2%증가), 상용SW 구매는 2805억원(전년대비 328억원, 13.2%증가), HW구매는 1조18억원(전년대비 1566억원, 18.5%증가)으로 집계됐다.
SW구축사업은 운영 및 유지보수사업이 1조5695억원으로 57.6%, SW개발사업이 7924억원으로 2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용SW 구매사업 예산 2805억원 중에서, 사무용SW와 보안SW가 1524억원으로 54.3%를 차지했다. ICT장비 구매예산은 컴퓨팅장비 7003억원(69.9%), 네트워크 장비 2716억원(27.1%), 방송장비 299억원(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W구축사업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80억원 이상 사업이 2015년 36건에서 2016년 43건으로 증가했으며 예산규모는 7950억원(29.2%)에서 8321억원(30.5%)으로 전년 대비 371억원(4.7%) 증가했다.
중소기업 사업영역인 40억원 미만 사업은 2015년 7050건 1조5648억원(57.6%)에서 2016년 7606건 1조5710억원(57.7%)으로 전년대비 62억원(0.4%) 소폭 상승했다.
한편 기관유형별로는 국가기관이 1조4962억원(37.3%), 공공기관이 1조7461억원(43.6%)을 집행할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 최우혁 SW산업과장은 “상용SW 구매 예산이 전년대비 10%이상 증가해 공공SW사업이 시스템통합(SI) 중심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사업기획 단계에서는 SW영향평가 제도, 사업수행 단계에서는 SW분리발주 제도를 활성화해 상용SW시장을 확대하고 SW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AI시대, ICT 정책은②] 네트워크 준비지수 5위인데…우리 정부는 준비됐나
2025-04-19 08:00:00구글, 美 ‘반독점’ 재판서 유죄 판결… '사실상 해체' 위기 직면
2025-04-18 18:04:23[DD퇴근길] 이마트 옆 다이소 옆 이케아…서울 '강동' 격전지로
2025-04-18 17:48:11KT클라우드, 업스테이지·리벨리온 등과 ‘AI파운드리’ 생태계 확장
2025-04-18 17:42:17메가존클라우드 염동훈 “AI 네이티브, 데이터의 숨은 가치부터 찾아야”
2025-04-18 17:4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