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신저로 집안 원격조정”…IoT플랫폼 ‘프로타’ 눈길
[디지털데일리 이민형기자]현재 국내외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시장은 춘추전국시대다. 여러 글로벌업체들이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시장을 지배하는 플랫폼은 아직 없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인수한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비롯해 애플의 홈킷, 구글 안드로이드 앳홈, IFTTT 등 다양한 플랫폼이 시장에서 경쟁 중이다.
이처럼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범람하고 있는 시대에 국내의 한 스타트업이 이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지난 2009년 설립된 나란테크(대표 박태현)가 그 주인공. 나란테크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프로타(Prota)’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스마트홈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최용석 나란테크 이사(최고운영책임자)는 “프로타는 모든 기기들을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하려고 했다. 하나의 프로타로 가정내 모든 기기들을 통제하는 것이 목표”라며 “더 나아가 IFTTT처럼 규칙에 따른 자동화를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스마트홈이란 이런 것”이라고 강조했다.
프로타는 개인용 서버로 출발한 제품이다. 가정내에서 미디어서버나 파일서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리눅스커널 기반의 OS를 탑재했다. 하지만 스마트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프로타를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의 역할까지 하도록 기능을 확대하기로 했다.
최 이사는 “프로타의 가장 큰 특징이 바로 자동화”라며 “사용자마다 필요한 자동화 규칙과 빈도가 다르다. 프로타는 사용자가 손쉽게 규칙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습을 통해 보다 나은 규칙이 되도록 해준다”고 설명했다.
또한 모바일메신저 라인과 연동돼 있어 ‘불꺼’라는 메시지를 라인을 통해 전송하면 가정내 모든 전등이 꺼지게 할 수 있다. 또 ‘집앞’이라는 메시지로 전등과 공조시스템 등이 자동으로 켜지게 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필요에 따라 자동화 규칙을 만들고 공유할 수 있다.
프로타의 또 다른 강점은 웹 기반 대시보드다. HTML5를 기반으로 만들어 별도의 모바일 앱이 없이도 웹브라우징만 가능하면 언제 어디서든 기기들을 관리하거나 규칙을 갱신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특성상 서드파티의 도움없이는 확산이 어렵다. 플랫폼 사업자가 모든 기기를 개발할 수도 없다. 여기에 대처하기 위해 나란테크가 선택한 것은 오픈플랫폼이다. 누구나 프로타의 OS를 가져다가 사용할 수 있다. 가전제품에 이를 적용할 수도 있고 프로타처럼 아예 게이트웨이를 만들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최 이사는 “서드파티를 수용하는데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며 “하지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OS를 만들고 있기 때문에 점차 영향력이 확산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최 이사는 “마이크로봇을 활용하면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제품을 구입하지 않아도 스마트홈을 구현할 수 있고, 프로타를 통해 다양한 규칙을 적용시킬 수 있다”며 “사용자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나란테크 프로타는 CES2016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프로타와 마이크로봇이 포함된 제품은 159달러에 인디고고(www.indiegogo.com/projects/microbot-push-a-robotic-finger-for-your-buttons#/)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이민형 기자>kiku@ddaily.co.kr
[인터뷰] "왜 갤럭시인가"… 우주에 심취한 삼성전자 출신 이경주 화가
2025-02-25 09:46:29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