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스택 서밋, 도쿄] 사용자에게 더 가까이…전문가 인증·정보제공 사이트 오픈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된 오픈스택은 점차 기술적인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엔터프라이즈에서도 적용이 가능이 가능한 수준이 됐지만, 이를 내부에 적용하기 위해선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를 구축할 수 있는 인력을 확보하고 이들을 교육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오픈스택 재단은 첫 전문가 인증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이를 통해 전세계 오픈스택 전문가들이 관련 지식을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통해 커뮤니티의 성장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첫 오픈스택 전문가 인증 프로그램…“최소 6개월 이상 사용경험 필요”=지난 27일부터 일본에서 개최 중인 ‘오픈스태 서밋 도쿄’컨퍼런스에서 조나단 브라이스 오픈스택 재단 사무총장은 “오픈스택의 첫 번째 자격증인 COA(Certified OpenStack Administrator)가 내년부터 실시될 예정”이라며 “COA는 최소 6개월 이상 오픈스택을 사용한 경험이 있어야 하고, 오픈스택 클라우드의 일상적인 운영 및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보유해야 취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캐노니컬과 시스코, EMC, 휴렛패커드 엔터프라이즈, 미도쿠라, 미란티스, 랙스페이스, 수세 등의 기업이 오픈스택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COA 프로그램을 위한 테스트 커리큘럼 작성 및 질문을 준비할 뿐만 아니라, COA가 실행되면 시험에 대한 트레이닝 및 준비 과정을 제공할 계획이다.
자격증 시험은 리눅스 재단의 지원 하에 운영되며, 리눅스 재단은 세계 어디서든 합리적인 가격으로 COA 테스트를 응시할 수 있도록 가상 테스트 플랫폼을 마련했다. 첫 COA 시험은 2016년 2분기에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오픈스택 재단은 사용자들이 오픈스택 사용을 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각 프로젝트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프로젝트 내비게이터((http://www.openstack.org/software/project-navigator)’도 출시했다.
그동안 오픈스택 사용자들은 각 프로젝트별 기능의 범위와 해당 서비스들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현재 오픈스택 산하에 속한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 및 프로젝트는 25개 이상이다.
◆25개 프로젝트별 성숙도, 출시일정 한 눈에=프로젝트 내비게이터는 프로젝트의 성숙도, 출시 일정, 패키징 및 문서 지원 등 각 프로젝트 별 주요 정보를 한데 모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마크 콜리어 오픈스택 재단 최고운영책임자(COO)는“핵심 및 부가 서비스로 프로젝트로 구성된 오픈스택 기반의 클라우드의 구축 및 아키텍트 과정을 간소화하고자 했던 점이 이번 프로젝트 출시의 계기”라며, “이는 사용자들에게 구축에 필요한 요소에 대해 정보에 기반, 신속하게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간단한 도표로 보여준다” 고 설명했다.
이번에 공개된 프로젝트 내비게이터는 신규 사용자들이 모든 오픈스택 클라우드에 걸쳐 가장 많이 채택되는 6개의 프로젝트인 핵심 서비스와 사용 목적에 따라 구축에서 선택 여부가 결정되는 부가 서비스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내비게이터 웹사이트 구동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오픈스택 기술 및 사용자 위원회가 제공한다.
특히 각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자 사례 및 백서에 기반한 샘플 구성 관리도 보여준다. 이들은 빅데이터, 웹 호스팅, 전자상거래, 고성능처리 컴퓨팅, 퍼블릭 클라우드, 비디오 프로세싱 및 콘텐츠 전송 등을 포함한다.
<도쿄(일본)=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