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적한 실내환경, IOT로 구현”…중앙대 스마트에너지 IOT연구실
[디지털데일리 이민형기자] 기존 공조시스템(에어컨,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새 제품을 구입하는 대신 ‘스마트 플러그’와 ‘센서 박스(가칭 스마트 센싱 시스템)’만 구입하면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 등을 통해 실내 공기질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중앙대학교 스마트에너지 IoT & 산업보안연구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IoT기반 실내공기 관리 시스템(지도교수 박세현/연구원 강병관, 서순오, 이상훈)’은 올해 말 상용화를 목표로 막바지 작업 중이다.
강병관 연구원(박사 과정)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실내 모든 공조기가 연계된 시스템이 아직 시장에 없었기 때문”이라며 “사물인터넷 기반 실내공기 관리 시스템은 에너지효율을 높이는데도 도움을 준다. 적정 실내환경을 만들면 자동으로 공조기 동작이 멈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순오 연구원(석사 과정)은 “시스템 구축을 위해 새 제품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 기존에 쓰던 제품을 스마트 플러그에 꽂으면 그걸로 준비는 끝난다”며 “시스템의 통제는 센서 박스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사용 중인 제품을 그대로 쓸 수도 있고, 교환하더라도 사용에도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IoT기반 실내공기 관리 시스템’ 프로젝트는 센서 전문업체인 이젝스와 공기정화시스템 전문업체 대왕시스템이 함께 진행하고 있다. 상용화는 빠르면 다음달 이뤄져 올해 말이면 실제품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민형 기자>kiku@ddaily.co.kr
"뉴진스 갈등? 최고매출 거뒀잖아"…'공연·MD'로 입증한 하이브
2025-02-25 18:22:31LGU+, MWC서 'PQC(양자내성암호)' 기술로 AI 보안 차별화
2025-02-25 18:22:06한국신용데이터-대전시, 제4인뱅 '한국소호은행' 본사 대전에 설립 추진
2025-02-25 18:02:22[데스크칼럼] 금리인하가 만병통치약인가… '고환율' 대책은?
2025-02-25 18:01:59적자폭 줄인 티맵모빌리티, 우티 이어 전동킥보드도 접는다
2025-02-25 17:4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