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파수 자유롭게 활용…용도자유대역 8GHz폭 추가 공급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허가나 신고 없이 자유롭게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됐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정보통신기술 융합 서비스 도입 촉진을 통한 신산업 창출을 위해 수백 메가헤르츠(㎒)부터 수백 기가헤르츠(㎓)에 이르는 전 주파수 대역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용도자유대역(K-ICT Free Band)’ 약 8㎓폭의 추가 공급 방안을 마련했다고 25일 밝혔다.
‘용도 자유대역’이란 출력 등 기기간 혼신 방지를 위한 최소한의 기술기준만 만족하면 허가나 신고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현재, 국내 주파수 분배는 7㎓폭(57∼64㎓)으로 유럽(15.2㎓폭), 미국(10.5㎓폭)의 60% 수준이다.
기존 주파수는 대부분 용도를 한정해서 사용해왔지만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용도 자유대역 주파수를 확대하게 됐다.
미래부는 저대역과 고대역에 걸쳐 ‘용도 자유대역’ 주파수를 추가 공급해 ICT 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먼저 저대역인 262~264㎒(2㎒폭) 대역은 스마트홈․원격검침 등 저전력 장거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로, 고대역인 24~27㎓(3㎓폭) 대역은 소출력 레이더(RF센서)․5세대 이동통신용 모바일 백홀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초고대역인 64~66(2㎓폭) 대역은 초고속 대용량 영상전송(WiGig)으로, 122~123(1㎓폭), 244~246(2㎓폭) 대역에서는 의료영상진단․보안검색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부 전성배 전파정책국장은 “2020년까지 약 48조원 규모의 국내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에 공급되는 용도 자유대역 주파수의 이용 효율 극대화를 위해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기술개발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이복현 "은행권 가산금리 추이 점검"… 금리인하 따른 가계대출 확대엔 우려
2025-02-25 13:03:15IBK기업은행, 부당대출 은폐 의혹 논란… CEO 제재 첫 사례될까 '촉각'
2025-02-25 11:28:09고려아연, 2025년 제1차 '지속가능경영추진위' 개최
2025-02-25 11:22:21네이버페이, 농협은행과 맞손…"디지털 금융 생태계 확장"
2025-02-25 11:0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