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요금제보다 부가서비스 확대…속내는?
- 손실 최소화·요금인하 마케팅 ‘유리’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통신사의 수익모델이 변하고 있다. 요금제도 마찬가지다. 요금제 자체는 단순화하는 대신 부가서비스를 다양하게 내놓는 형태다. 불과 2~3년 전만해도 너무 많은 요금제 탓에 헷갈렸던 것이 통신상품이었다. 단말기유통법과 데이터 중심 요금제 그리고 요금인하 압박에 대응키 위한 통신사의 생존전략이다.
통신사가 요금제는 간단하게 하고 부가서비스를 늘리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다. 우선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선택요금할인)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요금인하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단말기유통법에 따라 통신사는 지원금을 받지 않은 이용자에게 요금할인을 해줘야 한다. 현재 선택요금할인 할인율은 20%다. 선택요금할인은 기본료 전체에 적용된다. 부가서비스는 빠진다.
예를 들어 기본료 1만원과 기본료 5000원+부가서비스 5000원 둘 다 총액은 1만원이지만 선택요금할인이 들어가면 상황이 달라진다. 통신사가 손에 쥐는 돈은 전자는 8000원 후자는 9000원이다.
물론 소비자가 부가서비스를 고르지 않으면 큰일이다. 부가서비스를 선택할 수밖에 없도록 요금제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중심 요금제의 데이터양이 애매한 것도 그래서다. SK텔레콤과 KT는 이를 겨냥해 각각 ‘밴드타임프리’와 ‘마이타임플랜’ 등 데이터 추가 부가서비스를 선보였다.
부가서비스는 요금제는 아니다. 앞서 사례처럼 총액은 갖더라도 부가서비스로 돌린 만큼은 분명 요금인하다. 아울러 부가서비스는 소비자 저항이 크지 않다. 소비자가 알아서 가입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간섭도 적다. 자동차를 살 때 기본형의 가격은 낮지만 이것저것 옵션 탓에 가격이 불어나는 것과 유사하다. 아직 통신사는 자동차 제조사처럼 필수 항목을 옵션으로 돌리진 않았다.
한편 통신사의 부가서비스의 수를 늘리는 전략은 향후 더 강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도 더 현명한 선택이 요구된다. 요금할인을 생각하면 같은 값일 경우 부가서비스를 많이 고르는 것보다 기본료를 상향하는 것이 낫다.
통신사 관계자는 “그동안 소비자 반응과 정부의 태도 등을 고려하면 통신사가 이익을 높이기 위해 요금자체를 건드리기는 사실상 불가능”이라며 “향후 고객 특화 부가서비스를 늘리는 추세로 갈 수밖에 없다”라고 전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알리바바클라우드, 글로벌 AI 커뮤니티 위한 최신 AI모델 발표
2025-01-22 10:10:24“AI 인프라에 716조원 투자”...AI 키우기에 행정력 총동원한 트럼프
2025-01-22 09:57:32[취재수첩] “사랑의 매라면 빨리 맞게 해주세요”...정부·국회 바라보는 AI업계
2025-01-22 09:44:54'통신요금' 간편결제 경쟁 불붙나… 카카오페이, KT 온라인 무약정 '요고' 요금제 런칭
2025-01-22 09:4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