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진되는 정부 클라우드 사업은 무엇?…미래부·행자부 비중 높아
23일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화기획과에 따르면, 올해 국가기관 등이 추진하는 정보화 사업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정보화 사업은 총 19개로 이중 미래부(3개)가 937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행자부(7개)에 826억원의 예산이 책정된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미래부는 22일 올해 국가기관, 지차체 등 정보화 예산 5조2094억원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사업은 19개로 관련 예산은 전년 대비 54% 늘어난 1937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각 부처에 투입되는 올해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예산을 살펴보면 총 10개 국가기관 19개 사업이 여기에 해당한다(지자체 사업은 제외).
우선 가장 많은 클라우드 예산이 투입된 기관은 미래부다. 미래부는 올해 ▲개방형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에 3억원, ▲기술확산 지원 연구개발(R&D)에 16억500만원, ▲소프트웨어(SW) 컴퓨팅산업 원천기술 개발에 917억5000만원 등 총 3개 사업에 총 936억5600만원을 투자한다.
이에 대해 미래부 측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전방으로 지원하기 위해 올해는 이를 위한 SW 원천기술 연구개발 등이 포함되면서 예산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 다음으로 많은 정부부처는 행자부다. 행자부는 ▲국가 정보통신기반 효율화(클라우드 정책지원)에 2억원, ▲중앙행정기관 노후장비 통합 구축에 724억2300만원, ▲범정부 신규도입 전산장비 통합구축에 43억1000만원, ▲클라우드 PaaS 기반 GAPP 시범개발 및 확산에 5억원, ▲범정부 클라우드 통합전산환경 구축에 15억원, ▲국가위임사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에 10억원, ▲범정부 행정협업체계(지식경영) 구축에 26억4000만원 등 행자부에 총 825억7300만원이 책정됐다.
이밖에 중소기업청이 ▲창업저변확대(창업지원시스템)과 중소기업정보화기반구축사업에 101억원, ▲기상청 ‘선진예보시스템’ 구축(46억8900만원) ▲통계청 인구주택 및 농림어업총조사 e-센서스 통합시스템 구축(10억원), ▲외교부는 정보시스템 고도화(7억7000만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 표준·인증통합관리 및 서비스 체계 구축(3억원) ▲병무청 병무행정정보화 및 신 병무행정정보시스템(2억5000만원) ▲교육부 한국유학종합정보시스템 구축(2억3000만원) ▲산림청은 자연휴양림 정보시스템 고도화(1억원)이 투입된다.
미래부 박운규 정보화기획과장은 “2025년까지 2차 정보화 혁명에 잘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특히 공공기관에 지속적으로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이라는 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클라우드 관련 업계는 “지난 1월 국회 법안소위만 통과한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클라우드 법)’이 제정되면,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 및 적용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조속한 법 처리를 요구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