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통신기업 KT가 또 다시 위기다. 정권 교체기 매번 반복되는 CEO 리스크가 이번에도 KT를 흔들고 있다. 민간기업으로 재탄생한지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KT는 공기업 한국통신 취급을 받고 있다.
이석채 회장이 사퇴 의사를 밝힌 가운데 앞으로 KT의 새 CEO 찾기가 시작될 예정이다. <디지털데일리>는 KT 조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CEO 리스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무엇인지 분석해 본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친박 낙하산 인사가 새 회장으로 와서는 절대 안된다.\"
이석채 KT 회장이 사임 의사를 밝힌 가운데 이사회가 새로운 CEO 선출 작업에 돌입했다.
12일 오후 이사 이사회가 개최되면 이석채 회장에 대한 구체적인 퇴임시기가 정해지고 새 CEO 선출 작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아직 수사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수많은 의혹과 조직원들의 반발 등을 감안할 때 이 회장의 불명예 퇴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비리, 배임 의혹의 원인은 다양하다. 하지만 KT의 비극적인 출발의 원인은 무자격 낙하산 인사 때문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정치적 배경을 지닌 이 회장 역시 정관을 고쳐가며 KT CEO 자리에 올랐고, 그 정치적 배경이 낙하산 인사로 전환되면서 악순환이 반복됐다는 것이다.
지난달 미래창조과학부 국정감사에서도 KT의 경영, 인사, 노동환경 등에 대한 문제점이 다수 거론됐지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 사안은 바로 낙하산 인사 논란이었다.
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낙하산으로 분류되는 36명의 KT 전현직 인사 명단을 공개한 바 있다. 이명박 정부 때부터 시작된 낙하산 인사가 박근혜 정부 들어 더욱 늘어났다는 것이 최 의원의 설명이다. 박근혜 대통령 대선후보캠프에 몸담았던 홍사덕, 김종인, 김병호, 김정관 등의 인사는 KT에서 경영고문, 본부장, 사외이사 자리를 꿰찼다. 여기에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에 근무했던 다수의 인사들은 현재까지도 KT에서 요직을 맡고 있다.
민간기업 KT가 정부인사들의 재취업 전문기관으로 몰락했다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석채 회장 취임 이후 직원 숫자는 10% 가량 줄었지만 임원 숫자는 약 15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임원 수의 증가에도 불구 오랜기간 KT에서 몸담았던 오쉬 \'원래KT\' 인사들은 줄줄이 옷을 벗거나 자회사로 물러났다.
최두환 전 SD부문장, 김영환 전 KT네트웍스 대표, 이상훈 전 G&E부문장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 자리에는 영국 통신사 BT 출신인 김일영 코퍼레이트센터장과 김홍진 G&E 부문장 등이 차지했다.
김일영 사장의 경우 이 회장이 경영에서 물러날 경우 직무대행을 맡아야 할 위치지만 검찰의 조사대상으로 지목되며 출국금지를 당한 상태다.
투명한 인사시스템이 사라지다보니 실적도 뒷걸음치고 있다.
최근 마무리된 3분기 실적발표 결과, LG유플러스가 고속성장을 이어가고 SK텔레콤 역시 제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가운데 KT만 매출, 이익 감소가 지속되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때문에 이번에 부임할 KT 새 CEO는 투명한 절차를 통해 선출돼야 한다는 것이 KT 내외부의 공통된 요구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친박 낙하산 인사가 새 회장으로 와서는 절대 안될 것\"이라며 \"통신공공성, 통신전문성에 부합하며 노동자와 소비자를 존중하는 인물이 새 회장에 선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KT 관계자 역시 \"이번에도 통신 전문가가 아닌 낙하산 CEO가 선임된다면 공공성 논란 및 CEO 리스크는 반복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