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

비판받는 소셜미디어…자기도취에 빠졌었나

박기록 기자

[IT전문 미디어블로그 = 딜라이트닷넷]


18대 대선이 끝나면서 전혀 예상치 못했던 논쟁이 서서히 불붙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Social Media)가 과연 신뢰할 만 한가’에 대한 논쟁입니다. 

 

이미 대선 직후,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쏟아졌고, 일부에선 비판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빅데이터’(Big Data)와도 논리적으로 연결되기때문에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제기된 그중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소셜 미디어의‘폐쇄성’문제입니다.


주지하다시피 이번 대선에선 지상파나 오프라인 신문 등 주류 언론에서 다뤄지지 않는 대선관련 내용들이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폭발적으로 공유되고 전파됐습니다. 혹자는 이를 ‘주류 언론과 소셜 미디어의 대결’이라고 규정짓기도 했는데 그것이 과장은 아닌 듯 보였습니다.


◆SNS는 개방과 폐쇄성, 두 얼굴을 가졌다 = 그러나 어쨌든 결과적으로는 “소셜 미디어의 위력은 과대 포장됐다”는 비판을 수용할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소셜미디어가 갖는 한계, 즉 서로 정서가 맞는 사람들끼리의 커뮤니케이션 툴에 불과하다는 한계가 드러났다는 것입니다. 바꿔말하면 나와 다른 의견의 존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너무 과소평가됐거나 보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IT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에서는 사물과 현상에 대한 일종의 과장과 착시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이미 오래전부터 지적해왔습니다.


이는 지금까지 소셜미디어가 가장‘개방적’이라고 생각됐던 장점이 오히려 사실은 ‘폐쇄성’의 문제를 동시에 안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관점입니다.


지난 3월, LG유플러스는 4.11 총선을 앞두고  다음소프트와 공동으로 SNS를 통한 유권자 분석 서비스를 출시해 주목을 끌은 바 있습니다. SNS상의 사건과 흐름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여론을 살펴볼 수 있는 ‘여론분석 패키지’입니다. 트위터상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후보자의 점유율과 정책 선호도 등의 정보를 차트와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물론 실제로 지난 총선과정에서 이 서비스를 누가 채택했는지, 또 어떤 효과를 보았는지의 이후 소식은 없습니다. 다만 국내에선 SNS에 대한 시장의 기대수준이 그 어느 매체보다 높다는 것은 여전히 분명해 보입니다.



◆SNS는 신뢰할만한가 = 트위터의 뒤를 이어 페이스북(Facebook)이 국내에서 급격히 확산되고 있었던 지난해의 일입니다. 기자와 인연이 있는 IT업계의 한 지인은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단점을 여러가지 열거하면서 “국내에서는 생각했던 것 만큼의 충격을 던지지는 않을 것이고 비즈니스 모델로서도 크게 활용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그는 그 이유로 ‘정보 공유의 왜곡’가능성을 꼽았습니다. 특히 한국과 같이 유교적인 국가에서는 아무리 개인들간의 의견 교류라고하더라도 최소한의 정보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예를 들면, SNS로 연결된 커뮤니티에서 상대방이 올린 정보(사진 또는 의견)가 맘에 들지 않았도 가급적 '동조'를 해줘야하고, 또한 자신이 소셜미디어에 올린 정보도 실제는 이미 어느 정도 왜곡이 반영된다는 것입니다. 소셜 미디어를 정보전달 수단을 넘어 기존 매스 미디어를 대체할 수 있는 일종의 매체로 보는 것은 그래서 많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왜곡이 어느 수준을 넘어가면 조작이 됩니다. 이번 대선과정에서도 불법 SNS 댓글 여론조작 논란이 일었습니다. 실제로 누군가가 SNS로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는 유혹을 느낄만큼 SNS의 신뢰성 확보 수단은 아직 허술하기 짝이 없습니다.


◆나르시시즘, 소통엔 방해 요소 = 한편 소셜미디어를 통해 투영된 일종의 자아도취, 개인의‘나르시시즘(Narcissism)’이 개인간의 소통을 막는 SNS의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합니다. 예를들어‘잘난체 하고 싶은’개인의 심리가 불균형하게 소셜 미디어에 반영되는 현상입니다.  


같은 커뮤니티라하더라도 작은 일에도 호들갑스럽게 떠들기 좋아하는 부류와 반대로 거기에 염증을 느껴 침묵하는 부류로 나눠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대체로 한국의 커뮤니케이션 문화에서 대개 목소리가 큰 부류는 소수라는 것입니다. 반면 목소리가 큰 사람이 여럿일 경우는 대체로 커뮤니티가 깨지기가 쉽습니다. 때문에 대개가 소수의 스피커와 다수의 청취자로 정형화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는 분석입니다. 소셜미디어에서의 커뮤니티 구성도 오프라인과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이럴 경우,‘침묵하는 다수’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문제가 생깁니다. 드러나는 소수의‘큰 목소리(Big Mouth)’가 집단을 대표할 수 없기 때문이죠. 


논의를 확장해서 이쯤에서 한번쯤 다뤄봐야할 문제는 아마도 소셜미디어와 연계된 빅데이터의 문제입니다.

 

◆SNS의 문제, 빅데이터에도 영향 = 시장에선 여전히 노천광산처럼 SNS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손만대면 엄청난 마케팅 정보가 우수수 쏟아질 것이란 기대, 하지만 아직 의미를 둘만한 성공사례는 많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기업이나 금융회사, 통신업체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마케팅 정보를 취합하기위해 많은 관심을 보여왔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폭발적인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마케팅 정보를 추출해내기위한 여러가지의 기계적 장치가 갖춰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소셜미디어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가 나온다하더라도 여전히 빅데이터를 위한 전략과 IT투자는 불가피한 선택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다시피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정보의 왜곡은 결과적으로 빅데이터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직 초창기에 불과한 소셜미디어의 유효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기업들이 적지않은 비용을 투자한 빅데이터가 실제로는 효용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는 주목해야할 부분입니다.

 

금융권의 경우, 빅 데이터와 소셜네트워크(SNS)의 활용방법에 주목해 왔습니다.BI 고도화의 핵심입니다. 이미 하나, 신한, KB국민은행 등 주요 은행들이 빅 데이터와 SNS를 연계한 BI 고도화를 추진해왔습니다. 물론 아직 금융권에서의 빅 데이터와 SNS에 대한 대응은 걸음마 수준에 불구합니다.

ROI(투자대비효과)측면에서 빅데이터가 실제로는 과장됐다는 결론이 도출된다면 IT업계에선 그것을 뛰어넘는 새로운 툴을 제시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이번 선거로 인해 소셜미디어의 잠재력을 부정하는 것은 너무 성급합니다. 이번 선거에서 소셜미디어는 국내에서 2030의 전유물이고, 침묵했던 5060은 상대적으로 잡히기 쉽지 않는 ‘보이지 않는 데이터’였습니다. 


오히려 그동안 무비판적으로 수용돼왔던 소셜미디어의 단점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만합니다.

 

[박기록 기자의 블로그= IT와 人間]


 

박기록 기자
rock@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