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모바일 서비스 콘텐츠, 여전히 접근성 취약
-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검증체계 마련 필요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국내 공공 모바일 서비스의 문제점으로 콘텐츠 만족도와 정보취약계층의 공공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부족이 지적됐다.
20일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최된 ‘스마트정부(Gov 3.0) 오픈 포럼’에서 문형남 숙명여자대학교 교수(사진 한국웹접근성인증위원회 위원장)은 ‘공공 모바일웹 및 앱 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정부 정보의 적극적 활용이 부족하다”며 “또 기관별 유사한 성격의 앱도 많아 정리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 공공기관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모바일 서비스는 지난 4월 현재 모바일 웹은 기관당 평균 1.7개, 애플리케이션은 2.7개로 파악되고 있다.
거의 모든 기관이 모바일을 통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 교통, 범죄, 환경, 공공장소 등 주민들의 관심도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앱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공공 모바일 서비스 앱의 개발이 편중돼있다는 지적이다.
문 교수는 “국내의 경우 다양한 콘텐츠가 부족하고 생활정보형 앱에만 편중돼 있는 것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는 “공공기관의 성격을 반영하고 중장기적으로 어떤 전략, 어떤 내용으로 국민과 소통할 것인지에 대한 실제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보취약계층의 공공 모바일 서비스의 접근성 개선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문 교수는 “자체적으로 29개 공공기관의 모바일 웹표준을 살펴본 결과 7개 기관이 보통 이상의 평가를 받았고 나머지 22개 기관은 웹표준 준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행정안전부가 조사한 결과와도 크게 다르지 않다. 행정안전부가 모바일 앱 접근성 실태를 조사한 결과 중앙부처와 공사 및 공단의 경우 50% 이상이 접근성 점수에서 70점 미만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바 있다.
이에 대해 문 교수는 “정부가 고령자 및 장애인 단체와의 사용자 평가를 통해 정보취약계층의 모바일 접근성 개선 방안을 더욱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현장] 유영상 SKT 대표 "엔비디아 H200, 3월 도입"
2025-01-22 18:48:57[DD퇴근길] 미성년자, 밤 10시부터 인스타 금지…넷플릭스, '오겜2' 효과 톡톡
2025-01-22 18:07:46김태규 직무대행 "방송산업 위기, 규제 혁신·협업으로 돌파"
2025-01-22 18:07:22LG CNS 일반청약에 증거금 21조원 몰렸다…상장 흥행 신호탄
2025-01-22 17:47:35바이트댄스, 틱톡 위기에도 AI 올인 '17조원 투자'
2025-01-22 17:4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