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2011 클라우드 ⑪]클라우드 강국으로 가는 길…“이제는 GaaS”
- 정부, 5년간 6100억원 투입, 신성장산업으로 집중육성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각 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클라우드’ 구축을 통해 국내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신성장동력으로 삼으며 ‘IT 강국’을 넘어 ‘클라우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지난 2009년 12월 30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 행안부 등 3개 정부 부처는 향후 5년 간 약 6100억원을 투입, ‘클라우드 컴퓨팅’을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시키겠다는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을 내놓었다.
▲지난 2009년 12월 말 발표됐던 정부 3개 부처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
이를 통해 2014년까지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을 현재의 4배 이상 수준인 2조 5000억원 규모로 키우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10%까지 확대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클라우드 컴퓨팅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것이 당초 목표였다.
약 1년여가 지난 현재,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제 시작 단계에 섰다.
그동안 정부와 민간 업체들의 다양하 방식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개념 재정립과 시범사업 등을 통해 가능성을 타진됐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클라우드 서비스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역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인프라를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에게 GaaS(Government as a Service)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항이다.
◆2011년 클라우드 관련 정부 예산은 약 1000억원=올해 방통위와 지경부, 행안부 등 정부 부처는 특히 법제도 개선 및 표준화, 인증체계 도입 등을 통해 기반 여건 조성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지난해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시스템 구축을 위한 원천기술 R&D, 테스트베드 등의 구축에 주력했다면, 올해는 민간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출현을 위한 기반을 지원하게 된다.
▲지난 1월,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에 구축된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시범센터 개소식
물론 방통위와 지경부, 행안부는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을 추진하는데에 있어 각각의 역할이 있다. 방통위는 올해 관련 법, 제도 정비 및 인증제 추진하고 지난해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내에 구축한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행안부는 정부통합전산센터를 중심으로 인프라 및 플랫폼 고도화에 집중하며 수요처로써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초 서울 상암동에 구축한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시범센터’를 통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홍보,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의 수요를 확대하고 적합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경섭 정부통합전산센터장은 “현재 전자정부 서비스의 중심에는 스마트와 클라우드 컴퓨팅, 융합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가 자리 잡고 있는데, 이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정보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경부는 지난해에 이어 계속해서 연구개발(R&D) 시범 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본지가 각 부처별로 입수한 바에 따르면, 3개 부처의 올해 클라우드 관련 예산은 행안부가 약 800억원, 지경부가 약 85억원, 방통위가 약 10억원 가량으로 총 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2010년의 1400억원에 비하면 다소 줄어든 수치다.
3개 부처는 올해에도 공동의 클라우드 정책협의회를 운영하며 상호 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올 하반기 경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권한 남용 방지를 위한 법제도는 물론 서비스 계약(SLA), 보안 및 인증체계 등의 표준도 발표할 전망이다.
◆美재무부, 뉴욕시 등 클라우드 도입 본격화=그렇다면 해외 상황은 어떨까.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도 공공 전반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각종 프로젝트와 중장기 계획을 추진 중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스토어프런트’, 영국의 ‘G-클라우드’, 일본의 ‘가스미가세키 프로젝트’ 등이다. 그중에서도 역시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곳은 미국이다. 미국 연방정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국 연방 정부는 지난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친환경 ICT 운영을 통한 총체적인 친환경 경제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른바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Cloud First policy)을 발표를 통해 미국 정부와 공공기관에 클라우드를 선제 도입함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의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비벡 쿤드라 미국 연방 최고정보책임자(CIO)는 그동안 “데이터센터를 통합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IT자원을 공유해 이를 기반으로 원격 근무를 확산한다면 정부 기관들이 환경보호 책임을 보다 잘 실천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미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정부 기관이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의 EC2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엔 미국 재무부가 중앙 부처 중 최초로 EC2로 이관했다.
뉴욕시도 클라우드 컴퓨팅에 동참했다. 뉴욕시는 최근 IBM과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젝트를 진행해 향후 5년간 1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밝혔다.
◆영국, 호주, 일본 정부도 클라우드 적극 추진=영국 정부 역시 새로운 ICT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 초 클라우드 컴퓨팅을 채택했다.
영국정부는 ‘G-클라우드’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센터 통합 및 공공 클라우드 도입 추진을 통한 업무효율성 증대 및 친환경 IT 서비스 환경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일환으로 지난해 10월, 8000개 이상의 정부 산하 데이터센터를 12개로 통합시킨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동안 보안상의 문제로 클라우드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지 않던 호주 정부도 클라우드에 한발짝 다가섰다.
최근 호주 정부는 비용, 보안, 유연성, 운영의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최적의 방식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채택한다는 내용의 ‘호주 클라우드 컴퓨팅 전략 초안’을 발표했다.
이를 살펴보면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를 조성한 후, 공공 클라우드를 채택, 범정부적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전략으로 이는 호주 정보관리청(AGIMO)에서 총괄하고 있다.
이미 호주 국세청과 재무부, 통계청 등 몇몇 산하기관들은 이미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향후 5년 간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민들을 대상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일본 총무성도 ‘가스미가세키 프로젝트’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의 잠재력과 파괴력을 인정하면서 향후 IT자원이 미국에
집중되고 범지구적 주요 정보 및 기능들이 미국의 IT기업 데이터센터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자국 내 대규모 데이터센터유치 및 클라우드 특구 지정 등 국가차원의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IT 전력망인 스마트그리드, 친환경 교통정보시스템(ITS)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융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다.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 표준화 추진, 스마트 클라우드 컨소시엄 구성 등을 구성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있다.
이처럼 각 국가가 현재 의도하고 있는 것은 공공 부문에서 대규모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민간부문으로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확산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구글, 아마존과 같은 클라우드형 데이터센터를 자국에 유치해, 클라우드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각 국가들의 선점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IT백과] 생성형AI의 진화 ‘AI 에이전트’, 기존 AI 비서와 뭐가 다를까?
2024-12-21 13:27:59[종합] AI 초격차 확보 공고히 한 오픈AI…12일간 여정 끝엔 ‘쩐의전쟁’ 남았다
2024-12-21 11:15:25오픈AI, o1보다 더 강력한 o3 예고…개발자·연구자 대상 사전 테스트 실시
2024-12-21 08: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