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배터리 유럽 2025 성료…K-배터리, 유럽서 기술력 과시⋅공급망 협력 성과 [소부장박대리]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유럽 현지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5'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전시를 통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차세대 기술 경쟁력을 유럽에 알렸고, 다양한 한-EU 협력 프로그램도 본격화됐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 코트라는 7일부터 9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이번 전시회에 9개국 93개 배터리 기업이 참가하고 57개국 2737개사가 참여한 '더 스마터 E 유럽'과 연계해 성황리에 폐막했다고 9일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LFP 기반 전력망용 ESS 신제품을 유럽 최초 공개하고,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의 ESS 전용라인을 통해 현지 생산 역량을 강조했다. 삼성SDI는 AI 데이터센터용 UPS 배터리 'U8A1'과 열전파 차단 기술 'No TP'를 전시해 '스마터 E 어워드' 수상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에너테크 인터내셔널, 에버모어테크놀로지 등도 NCM, LFP, 실리콘 음극재 등 핵심 소재와 차세대 로드맵을 제시했으며, 올해 처음 참가한 제이스텍은 셀부터 부품·설비까지 아우르는 턴키 솔루션을, 나래나노텍은 Xenon Lamp 기반 전극 Coater를 선보였다.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경상북도, 포항시, 구미시 등 지방자치단체도 기업들과 공동관을 운영하며 지역 산업 역량과 투자 유치를 적극 홍보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유럽 수출 금융지원 방안을 알리며 바이어 유치에 나섰다.
전시 기간 동안 개최된 'Battery Day Europe Conference'에선 삼성SDI, 프라운호퍼, P3 등 주요 기관이 참여해 배터리 기술 및 재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SDI는 고안전성 각형 배터리 기술을 소개했고, ReLios, TU Delft 등은 전고체·드라이코팅·고엔트로피 전해질 기술을 공유하며 차세대 배터리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Korean-German BESS Event'에서는 ESS 산업 협력 방안이, ‘Battery+ Forum’에서는 GBA(Global Battery Alliance)의 배터리 패스포트 시스템이 소개돼 ESG 기반 공급망 표준화 전략이 논의됐다. 유럽 주요 국가 단체들도 산업 정책을 공유하며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K-배터리는 기술력과 제조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전동화 전환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잡았다"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한국과 유럽이 기술·ESG 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며 미래 모빌리티와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현장]“어르신, 온라인 예약 하셨어요?”...SKT 유심교체 방문해보니
2025-05-10 07:07:00국내 플랫폼 다 죽는다…"공정거래법 개정안, 경쟁력 약화할 것"
2025-05-09 19:09:38주니퍼네트웍스, 가트너 '데이터센터 스위칭 부문' 리더 선정
2025-05-09 17:41:02[DD퇴근길] 김영섭號 KT, 통신 다음은 AI…"MS 협력 성과 가시화"
2025-05-09 17:25:15연 6.0% 우대금리 혜택… 새마을금고 어린이 맞춤형 'MG꿈나무적금' 5만5천계좌 판매
2025-05-09 17: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