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SK하이닉스, CXL 기반 D램 상용화 본격화…96GB 제품 인증 완료 [소부장반차장]

배태용 기자
SK하이닉스 CMM-DDR5.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CMM-DDR5. [ⓒSK하이닉스]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SK하이닉스가 차세대 메모리 인터페이스 CXL(Compute Express Link)을 활용한 D램 제품의 고객 인증을 완료하며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버용 메모리 용량 확대와 시스템 확장성 강화가 동시에 가능해지는 만큼,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23일 CXL 2.0 기반 'CXL 메모리 모듈(CMM)-DDR5 96GB' 제품이 고객 인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기존 DDR5보다 용량이 50% 커지고, 대역폭도 30% 넓어져 초당 36G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회사 측은 "데이터센터의 전체 비용(TCO)을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강조했다.

이 제품은 고성능 서버 및 AI 연산용 시스템에 적합하다. CXL은 CPU와 GPU 등 주요 연산 장치와 메모리 간 연결 효율을 높여주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로, PCIe 기반에서 작동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다.

SK하이닉스는 현재 128GB 용량 제품에 대해서도 고객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다. 해당 제품은 1b(5세대) 미세공정 기반의 32Gb DDR5 칩이 적용돼 전력 대비 성능(전성비)이 우수하다. 회사는 "128GB 제품도 빠르게 인증을 마치고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술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자사가 개발한 CXL 전용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HMSDK(Heterogeneous Memory SDK)를 통해 성능 최적화를 지원하고 있다. 해당 도구는 리눅스 운영체제 커널에도 반영돼 시스템 호환성을 높였다.

강욱성 SK하이닉스 부사장(차세대상품기획 담당)은 "CXL 메모리는 기존 시스템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라며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솔루션 제품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배태용 기자
tybae@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