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위 '맛김·간장' 가격 급등…올해 1분기 생활물가 '껑충'
[디지털데일리 최규리기자] 올해 1분기 서울과 경기도 주요 유통업체에서 판매된 생활필수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맛김과 간장 등 식품류의 가격 인상이 두드러졌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올해 1분기 수도권 내 420개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생활필수품 37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이 중 22개 품목 가격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평균 4.2% 올랐다고 17일 밝혔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품목은 맛김으로, 작년 동기 대비 20.4% 올랐다. 브랜드별로는 풀무원의 '들기름을 섞어 바삭바삭 고소하게 구워낸 파래김'이 20.9%, 동원F&B의 '양반 좋은 원초에 그윽하고 향긋한 들기름김&올리브김'이 19.8% 상승했다.
맛김 가격 인상은 주원료인 김 원초 가격이 기후변화 등으로 작년 중반 이후 급등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다만 센터는 최근 물김 산지 가격이 작황 호조로 지난해 대비 42% 하락한 점을 들어, 향후 소비자 가격 인하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맛김에 이어 간장(10.1%), 커피믹스(7.9%), 고추장(6.2%), 케첩(5.9%) 순으로 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간장 역시 원재료인 대두·밀가루·소금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 앞으로 가격 인하 여지가 있다는 게 센터의 분석이다.
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 대비 올해 1분기 가격 변동을 보면, 19개 품목이 가격이 오른 반면 18개 품목은 하락했다. 가장 큰 폭으로 오른 품목은 커피믹스(5.8%)로, 동서식품과 남양유업이 출고가를 인상한 영향이 반영된 결과다.
베트남의 이상기후와 물류비 상승으로 원두 가격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추가 가격 상승 가능성도 있다. 아이스크림(4.5%), 시리얼(3.0%), 마요네즈(2.0%), 햄(2.0%)도 가격이 올랐다.
반면 두루마리 화장지(-2.7%), 식용유(-2.5%), 두부(-1.8%), 맛살(-1.4%), 기저귀(-1.1%)는 가격이 내려 소비자 부담을 다소 덜었다.
한편, 센터는 미닛메이드 오렌지음료가 최근 두 차례의 리뉴얼을 통해 과즙 함량을 기존 82%에서 30%까지 대폭 낮췄지만, 소비자에게 명확히 알리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미닛메이드 오리지널은 2023년 12월 미닛메이드 에센셜로 변경되면서 과즙 함량이 82%에서 51%로 줄었고, 작년 12월 미닛메이드 시그니처로 리뉴얼되면서 과즙 함량이 30%로 더 줄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환율·원재료 가격 상승 등 불가피한 가격 인상 요인이 있더라도 기업은 소비자에게 충분히 설명해주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가격을 조정하는 상생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시대, ICT 정책은②] 네트워크 준비지수 5위인데…우리 정부는 준비됐나
2025-04-19 08:00:00구글, 美 ‘반독점’ 재판서 유죄 판결… '사실상 해체' 위기 직면
2025-04-18 18:04:23[DD퇴근길] 이마트 옆 다이소 옆 이케아…서울 '강동' 격전지로
2025-04-18 17:48:11KT클라우드, 업스테이지·리벨리온 등과 ‘AI파운드리’ 생태계 확장
2025-04-18 17:4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