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실증…’네트워크AI’ 실현 속도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SK텔레콤이 새로운 이동통신망 기술 상용화를 위한 실증 연구 성과를 냈다.
SK텔레콤은 글로벌 장비 제조사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과 협력해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하는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번 실증을 통해 실내외 상용망에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구축하고, 기존 가상화 기지국 대비 서비스 품질, 용량, 전력 효율 등 핵심 성능 개선 수준을 종합적으로 검증, 확인했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설치하면 제조사에 관계없이 구현이 가능해,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AI(Network AI)’ 실현 핵심 기술로 꼽힌다. 과거 기지국 전용 하드웨어에 동일 제조사의 소프트웨어로만 구성돼야 했던 구조보다 개방성과 유연성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은 이번에 가상화 기지국 핵심 요소인 가속기 구조 진화를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을 개선한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해 실증에 활용하며 효율성과 경제성도 높였다.
또 SK텔레콤은 개방형 프론트홀을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국내 네트워크 장비 전문 기업 에치에프알(HFR)의 무선 장치를 오픈랜 표준에 따라 연동하고, 이를 실제 실내 사무공간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하는데도 성공했다. 프론트홀은 기지국 중앙 장치(DU, Digital Unit)와 분산된 무선 장치(RU, Radio Unit)를 연결하는 망을 의미한다.
SK텔레콤은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네트워크AI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또, 통신 서비스와 AI 워크로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최적 AI 기지국(AI-RAN) 구조를 도출하기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포함한 다양한 칩셋 기반 기지국 장비와 가상화 자원 분배 기술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SK텔레콤은 지난달 개최된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5’에서 GPU 기반 가상화 기지국 초기 벤치마킹 결과와 AI 기지국에서 무선 통신 성능 저하 없이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 자원 관리(Orchestration) 기술 등 네트워크 AI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한 바 있다.
또, SK텔레콤은 지난해 ‘O-RAN 글로벌 플러그페스트 2024’에서 에릭슨, 노키아 등과 협력해 다양한 구조의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해 발표하고, 일본 NTT 도코모와 함께 가상화 기지국 기술 백서를 발간하는 등 오픈랜 관련 연구개발을 선도 중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이번에 상용 환경에서 실증한 가상화 기지국은 SK텔레콤의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 비전인 네트워크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구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AI시대, ICT 정책은②] 네트워크 준비지수 5위인데…우리 정부는 준비됐나
2025-04-19 08:00:00구글, 美 ‘반독점’ 재판서 유죄 판결… '사실상 해체' 위기 직면
2025-04-18 18:04:23[DD퇴근길] 이마트 옆 다이소 옆 이케아…서울 '강동' 격전지로
2025-04-18 17:48:11KT클라우드, 업스테이지·리벨리온 등과 ‘AI파운드리’ 생태계 확장
2025-04-18 17:42:17